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내연구팀, 인공 상어피부 소재 개발…"비행기·선박 연료↓"

by


부산대·한양대·동의대 공동연구,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 선정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상어 피부는 미세한 비늘 구조로 돼 있어 물의 저항이 적어 빠르게 나아갈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상어 비늘처럼 표면 마찰을 줄여 차세대 운송 수단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소재를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응용화학공학부 김채빈 교수 연구팀이 한양대 유기나노공학과 위정재 교수, 동의대 화학공학과 정소담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자기장과 빛을 이용해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상어 피부 모사 마이크로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 상어 피부를 항공기, 선박 등 차세대 운송 수단에 적용한다면 마찰 저감으로 연료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했다.
상어 피부는 단단한 비늘이 교차하고 층층이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유체 저항을 줄이고 빠르게 헤엄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상어 피부 구조는 단순한 나열이 아닌, 미세한 비늘이 교차하고 중첩된 3차원 복합 구조를 띠고 있어 기존의 복제 성형 기술로는 정밀한 구현이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자기장으로 형성된 마이크로 구조체를 빛에 노출해 실시간으로 고정·해제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재료를 개발했다.
김채빈 교수는 "이 기술은 상어 피부 구조를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빛과 자기장을 활용한 지능형 마이크로 구조로 설계해 향후 에너지 효율화, 스마트 소재, 자가 치유 표면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적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온라인에 게재됐고,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cch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