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기사입력 2025-09-17 14:26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피레타에 기술이전…"항만 크레인 비파괴검사 장치 개발 추진"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와이어로프의 안전성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 장치 '로프 닥터'(Rope Dr.)를 개발, 피레타에 기술이전 했다고 17일 밝혔다.

피레타는 이를 바탕으로 해양 항만 크레인 비파괴검사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와이어로프는 스키장 리프트, 엘리베이터, 해양 항만 크레인 등에 쓰이는 수십 가닥의 강철 선으로 이뤄진 부품이다.

기존 안전성 검사에 쓰이는 외국산 자속누설탐상(Magnetic Flux Leakage) 장비는 강한 자석을 이용해 와이어로프에 자력을 띠게 한 뒤, 내부에 단선이나 균열이 있을 경우 그 부근에서 자기장이 새어 나오는 현상을 센서로 감지해 결함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로프가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결함을 확인할 수 있어 현장 검사에 널리 쓰이지만, 해외 장비 특성상 도입과 유지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원자력연 강토 박사 연구팀은 기존 자속누설탐상 기법을 활용하되 최적화된 장비 경량화 설계를 통해 무게를 30% 이상 줄였다.

강철 선이 한 가닥만 손상돼도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해외 장비와 동등한 성능을 내면서도 장비 가격과 유지보수 비용은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존 와이어로프에 추가로 설치하면 로프가 순환하면서 내외부 결함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어 중대재해 위험이 큰 사업장 등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진 재료안전기술연구부장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운영 시 사용되는 크레인 와이어로프 결함 검사에도 활용할 수 있어 발전소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