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패션파 남성, 하이힐 병 증가한다

by

남성도 일명 '하이힐 병'에 걸린다. 더이상 하이힐을 신는 여성들만의 병이 아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일 '2009~2013년 후천성 엄지발가락 외반증(질병코드 M20.1)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2013년 진료 인원은 5만5931명이었다. 2009년의 4만1657명에 비해 연평균 7.6% 늘었다.

이 중 여성이 84.7%를 차지했다. 하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6.8%)보다 남성(13.1%)이 2배 정도 높았다. 운동화 대신 볼이 좁은 구두를 즐겨 신는 '패션파' 남성이 늘면서 20~30대 남성환자가 증가했다. 본석자료에 따르면 20대가 100%, 30대가 70% 늘었다. 반면 여성은 하이힐 외에도 스니커즈, 플랫슈즈 등 다양한 신발을 선택하면서 40대 환자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져 통증이 생기는 병이다. 엄지발가락 뼈의 힘줄에 이상이 생기거나, 관절을 감싸는 관절낭이 늘어나면서 엄지발가락의 관절이 변형돼 발생한다. 유전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한다.

무지외반증을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걸음걸이까지 변할 수 있다. 발병초기에는 약간의 외형상 변형만 있고 큰 증상이 없다. 하지만 방치할 경우 엄지발가락과 둘째발가락이 엇갈리는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하면 무릎이나 엉덩이, 허리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치료는 교정용 갈창이나 보조기 사용, 심하면 수술을 해야 한다. 신보순기자 bsshi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