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내 완성차 2월 실적 저조…르노삼성만 2개월 연속 '더블 성장'

by

르노삼성을 제외한 국내 완성차 업계의 2월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사의 2월 실적발표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차는 작년 2월과 대비해 전체 판매 물량이 각각 5.5%, 8.7% 감소했다.

또한 한국GM과 쌍용차도 각각 18%, 17.6% 줄었다. 이는 설 연휴로 인한 근무 일수 감소로 생산이 줄면서 전체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르노삼성은 2월 내수 5204대, 수출 1만426대 등 총 1만5630대를 판매했다.

영업일과 조업일수 감소에도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102.5%) 늘어난 수치로 르노삼성은 1월(150.6%)에 이어 두 달 연속 '더블 성장'을 이어갔다.

이같은 실적은 SM5 노바와 SM3 네오 등 신차 효과가 컸다.

내수 판매(5204대)는 SM5 노바와 SM3 네오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증가했다.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0% 늘어난 1만426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닛산 로그가 5220대, QM5가 4053대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이 르노삼성차 수출의 88.9%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2월 한 달간 국내 4만6859대, 해외 31만3123대 등 총 35만9982대를 판매했다.

국내 판매가 8.8%, 해외판매는 5.0% 각각 줄었다.

국내 시장에서는 쏘나타가 총 7306대가 팔리며 현대차 최다 판매 차종으로 꼽혔다. 이 가운데 쏘나타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1154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배 가까이 늘었다.

이에반해 아반떼(6717대), 그랜저(6369대). 제네시스(2402대) 등 승용차 판매는 2만6402대로 작년보다 2.6% 줄었다.

또한 싼타페(4892대), 투싼ix(1751대), 맥스크루즈(694대), 베라크루즈(273대)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도 작년 2월보다 29.3% 감소한 7610대를 기록했다.

해외실적을 보면 국내공장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6% 감소한 8만5805대, 해외공장 판매는 1.7% 감소한 22만7318대를 각각 기록했다.

기아차는 2월 국내 3만5405대, 해외 18만6264대 등 총 22만1669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국내 판매는 올 뉴 쏘렌토와 올 뉴 카니발 등 주력 차종이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모닝이 7천127대가 팔려 기아차 가운데 가장 많이 팔렸으며 올 뉴 쏘렌토와 올 뉴 카니발은 각각 5728대와 4600대가 각각 팔렸다.

하지만 해외판매 실적은 작년 2월보다 10.4% 줄었다.

한국GM은 2월 내수 9163대, 수출 3만218대 등 총 3만9381대를 판매했다.

쉐보레 크루즈와 트랙스는 각각 작년 판매보다 5.6%, 7.1% 늘었다. 특히 쉐보레 말리부의 판매량도 1251대로 작년 동기 대비 49.6%의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최근 14개월 연속 판매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수출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9% 감소했다.

쌍용차는 2월 내수 6571대, 수출 3153대를 포함해 총 9724대를 판매했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티볼리 출시에 따른 내수 판매 증가에도 조업일수 감소와 러시아 수출 물량 축소 영향으로 전체 판매 물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6% 감소했다.

티볼리는 1월 출시 13일 만에 2312대가 팔린 데 이어 2월에도 2898대가 판매돼 쌍용차의 내수 판매 증가세를 견인했다.

다만, 수출은 루블화 급락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 물량을 축소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0% 급감했다.

쌍용차는 유럽, 중국 등 티볼리의 본격적인 선적이 시작되는 3월 이후에 수출 물량은 다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