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 행동장애
매년 인격이나 행동 장애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이 1만3천~4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며 눈길을 끌고 있다.
진료 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많았고, 3명 중 2명은 10~30대였다. 학업 부담이나 취업난, 미래에 대한 불안감 같은 극도의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꼽힌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따르면 작년 '인격 및 행동의 장애(질병 코드 F60~69)'로 진료받은 환자는 1만3천28명에 달했다.
지난해 진료 인원 중 남성은 8천935명으로, 여성 4천93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28.0%, 30대 18.4%, 10대 17.3%로, 10~30대가 전체의 63.7%를 차지했다.
인격 및 행동의 장애에는 '인격장애'와 '습관 및 충동 장애', '성주체성 장애' 등이 포함된다.
인격장애는 한 개인이 지닌 지속적인 행동 양상과 성격이 현실에서 기능의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 성격 이상이다. 지나친 의심이나 냉담함, 공격성 등이 나타난다.
습관 및 충동 장애는 명백한 이성적 동기가 없는 반복적인 행동이 특징이다. 순간적인 분노를 참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불을 지르거나, 병적 도박, 물건을 훔치는 등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 공기총 난사 사건 등으로 인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간헐성 폭발성 장애는 습관 및 충동 장애의 일부로 분류된다.
인격 및 행동장애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과 정신과 의사의 면담에 의해 내려진다. 환자에게는 주로 약물 치료와 정신 치료가 병행된다. <스포츠조선닷컴>
인격 행동장애 인격 행동장애 인격 행동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