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전세난에 매매수요 폭발, 2얼 서울 수도권 주택거래 10년만에 최대

by

전세난에 시달리는 세입자들이 주택구매 대열에 대거 합류하고 있다.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거래량은 지난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파트 거래보다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거래 증가 폭이 더 컸다.

국토교통부는 2월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량이 7만8864건으로 작년 2월보다 0.4% 감소했다고 9일 밝혔다. 올해 2월은 작년과 다르게 설 연휴가 끼어 있어 전국적으로 주택거래가 작년보다 소폭 감소했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이다.

그러나 설 연휴, 겨울철 비수기에도 수도권과 서울의 주택 거래는 오히려 늘었다. 2월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7502건, 서울은 1만2990건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각각 4.2%, 10.4% 증가했다. 이 같은 거래량은 국토부가 주택거래량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6년 이후 2월 거래량으로는 가장 많은 것이다.

2월 거래량을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5만7885건)는 1.6% 감소한 반면, 연립·다세대(1만1999건)는 4.6%, 단독·다가구(8980건)는 0.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아파트 등의 전세수요가 비슷한 가격으로 매입이 가능한 연립·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의 매매수요로 전환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의 주택 매매거래는 4만1362건으로 4.3% 줄었다.

서울만 놓고 보면 한강 이남(10.8%)과 한강 이북(9.9%) 모두 증가했으나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는 거래량이 3.2% 줄었다. 강남권 거래가 줄었지만 다른 서울 지역이나 수도권의 거래가 증가한 것은 강남 재건축 등 거래보다 전세난에 따른 매매전환 수요가 많았음을 추정하게 만든다.

2월까지 누계로 봐도 전국의 주택 거래량은 15만818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3% 늘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