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10대그룹 상장계열사 사내유보금 500조원 돌파…정부 과세 방침 무색

by

10대 그룹 상장계열사들이 사내에 돈을 쌓아놓은 사내유보금이 500조원을 돌파했다.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사내유보금에 과세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당기 이익금 중 세금과 배당 등의 지출을 제외하고 사내에 축적한 이익잉여금에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이다.

23일 재벌닷컴이 국내 10대그룹의 96개 상장계열사의 2014회계연도 개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96개사의 사내유보금은 작년 말 503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7조6300억원(8.1%) 늘었다.

그룹별 사내유보금은 10대 그룹 중 현대중공업그룹을 제외한 9개 그룹이 증가했다.

삼성그룹 18개 상장계열사의 사내유보금이 196조7100억원으로 집계돼 가장 많았다. 이는 1년 전보다 20조6500억원(11.7%) 늘어난 것으로, 증가폭도 가장 컸다.

현대차그룹 11개 상장계열사의 사내유보금도 1년 전 92조800억원에서 10조700억원(10.9%) 늘어난 102조1500억원이었다.

SK그룹 16개 상장계열사는 53조500억원으로 5조4300억원(11.4%) 증가했고, 포스코그룹 7개 상장계열사는 45조3000억원으로 5500억원(1.2%) 늘었다.

LG그룹 12개 상장계열사는 1조8700억원 늘어난 42조3200억원으로 집계됐다.

롯데그룹(8개사)은 1년 전보다 8500억원(3.1%) 늘어난 27조9400억원이었고 GS그룹(8개사)은 4800억원(4.9%) 늘어난 10조32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화그룹(7개사)과 한진그룹(6개사)은 각각 8조3500억원, 2조8000억원으로 각각 4700억원(6.0%), 1900억원(7.5%) 증가했다.

반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현대중공업(3개사)은 15조62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6800억원(14.6%) 감소했다.

개별 기업 사내유보금은 삼성전자가 9.8% 증가한 138조8700억원으로 10대 그룹 상장사 중에서 가장 많고 현대차(44조9400억원)와 포스코(42조4400억원)는 40조원을 넘는다.

또 기아차(16조5100억원), 현대모비스(16조8700억원), 롯데쇼핑(15조4300억원) 등도 10조원이 넘는 돈을 사내에 쌓아두었다.

아울러 사내유보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사내유보율은 1년 전 1257.6%에서 1327.1%로 69.4%포인트 올랐다.

통상 유보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배당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투자와 배당 등에 소극적이란 지적도 있다.

그룹별 사내유보율을 보면 롯데그룹이 1년 전보다 144.5%포인트 높아진 4773.6%로 10대 그룹 중 가장 높다.

삼성그룹은 1년 전보다 300.6%포인트 높아진 3494.9%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현대차그룹의 사내유보율도 161.4%포인트 개선된 1654.1%였다.

인수·합병 등을 거친 포스코그룹은 3485.0%로 122.2%포인트 낮아졌고 실적악화에 빠진 현대중공업그룹은 2640.4%로 452.4%포인트 떨어졌다.

개별 기업의 사내유보율에서는 SK텔레콤이 3만87.01%로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 96개사 중에서 가장 높았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