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경제운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운전은 친환경·경제·안전 등을 지향하는 운전으로 '에코드라이브'라고도 불린다.
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전국 성인 남녀 2241명을 대상으로 에코드라이브 인지도와 실천도 등을 조사한 결과, 에코드라이브를 가장 잘 실천하는 에코드라이버는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31일 밝혔다.
에코드라이브 실천도 전체 평균은 70.0%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여성(71.1%)이 남성(69.3%)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72.5%), 40대(69.7%), 30대(66.5%), 20대(65.0%) 순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은 항목을 실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강원(8.3개), 울산(8.0개), 광주(7.7개) 순으로 많은 항목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코드라이브 인지도는 남성(66.7%)이 여성(47.6%)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대별로는 30대(59.2%), 40대(58.3%), 50대 이상(57.4%), 20대(52.5%) 순, 지역별로는 전북(62.9%), 제주(62.7%), 대전(61.5%), 광주(60.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지도 및 실천도가 높은 에코드라이브 실천항목은 출발을 부드럽게, 공회전 최소화, 경제속도 준수, 정속주행 유지였고, 알면서도 실천하기 어려운 항목은 적재물 다이어트였다.
인지도 및 실천도가 모두 낮은 항목은 타이어 공기압 체크, 에어컨 사용 자제, 소모품 관리 철저, 교통정보 생활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에코드라이브를 실천하고 있는 운전자들의 81.6%가 에코드라이브 실천을 통해 '연료절감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실질적인 연료절감 효과는 평균 14.1%로 경제운전 실천이 실제 연료비 절감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 오영태 이사장은 "운전자 개개인이 운전습관을 바꾸는 것 만으로 연료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교통사고 예방 등 1석 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만큼, 공단은 앞으로도 다양한 교육과 홍보활동을 통해 에코드라이브가 전 국민의 생활속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