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자산총액 5조 이상 대기업집단 61곳 지정…전체 자산총액 2258조원

by

경기부진의 여파로 상호 출자와 채무보증 등에 제한을 받는 기업집단(대기업집단)의 매출과 수익성은 악화했지만 재무구조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을 발표했다.

공정위가 매년 4월 발표하는 상호출자·채무보증 제한 기업집단은 직전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상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재벌그룹이다.

지정 기업집단 수는 61개로 전년(63개)보다 2개 감소했다. 이들 기업집단이 거느린 계열사는 총 1696개로 전년(1677개) 대비 19개 증가했다. 계열회사 수가 많은 대기업 집단은 SK(82개), 롯데(80개), GS(79개), 대성(73개), 삼성(67개), CJ(65개) 순이었다. 49개 민간기업 집단 중 총수가 있는 집단은 삼성, 현대자동차 등 41개이고 총수가 없는 집단은 포스코, KT 등 8개다.

61개 집단의 자산총액은 225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2205조8000억원)보다 52조6000억원 증가했다. 대기업집단의 자산총액은 2011년 1691조원, 2012년 1978조원, 2013년 2108조원, 지난해 2206조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공기업집단의 최근 5년간 자산증가율(48.6%)은 민간집단(28.7%)을 크게 웃돌았다. 자산총액이 100조원 이상인 집단은 삼성, 한국전력공사, 현대자동차, 한국토지주택공사, SK, LG 등 6개로 2012년 이후 변동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61개 집단의 부채비율은 101.1%로 지난해(103.7%)보다 2.6%포인트 감소했다. 부채비율이 많이 감소한 집단은 현대(-93.9%포인트), 한국토지주택공사(-48.3%포인트), 인천도시공사(-34.4%포인트), 홈플러스(-31.1%포인트), 한진(-28.4%포인트) 순이다.

61개 집단의 총 매출액은 1505조1000억원으로 지난해(1536조6000억원)보다 30조5000억원 감소했다. 삼성(-30조2000억원), GS(-5조원)는 매출액이 감소한 반면, SK(8조7000억원)와 현대자동차(7조8000억원)는 증가했다.

61개 집단의 당기순이익은 4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47조8000억원)보다 5조7000억원 줄었다. 삼성(-3조9000억원), 현대중공업(-3조원)은 당기순이익이 줄었지만 한국철도공사(4조원), 한국전력공사(2조9000억원)는 늘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