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들이 삼성전자의 갤럭시S6를 무료에 가깝게 구할 수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6일 업계에 딸면 이같은 일이 가능한 것은 보상판매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이 갤럭시S5를 반납하면 200달러를 보상해준다. 갤럭시S4를 반납해도 150달러를 보상해준다. 버리이즌은 2년 약정시 갤럭시S6(32GB 제품)를 199.99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갤럭시S5의 보상판매를 이용하면 사실상 공짜다.
버라이즌은 예약판매 등 기간 한정으로 보상판매 행사를 진행하지만 갤럭시S6의 소비자 반응이 워낙 좋은 데다 미국 최대 규모의 이통사가 나선 만큼 보상판매를 이용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갤럭시S6를 구입하기 위해선 미국과 달리 제값을 다 주고 구입해야 한다. SK텔레콤의 경우 'T에코폰', KT는 '그린폰'이라는 이름으로 중고 제품 보상을 하고 있지만 보상 가격이 적은 편에 속한다. 시중에서 거래되는 중고가격보다도 10만~20만원 가량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SK텔레콤이 지난해 12월 홈페이지에 공시한 보상단가를 보면 A급 양품을 기준으로 갤럭시S5(갤럭시S5 광대역 LTE-A 포함)는 20만원을, 갤럭시S4(갤럭시S4 LTE-A 포함)는 10만원을 보상해준다. 애플 아이폰5s는 35만원을, 아이폰5c와 아이폰5는 각각 19만원과 17만원을 보상해준다. 시중에서 중고에 거래되는 가격보다 10~20만원 가량이 적다. 이같은 배경에는 소비자 입장에서 보상판매액이 너무 적기 때문이라는 점이 자리잡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그러나 이동통신업계는 시장 구조에서 원인을 찾고 있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보상판매를 진행할 때 제조사가 지원금을 함께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며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있는 상황에서 높은 보상액을 지급하는 보상판매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