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7일 LTE 고객을 상대로 국내 최초로 최저 2만9900원부터 모든 요금 구간에서 음성 통화와 문자를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저 요금인 2만9900원 요금제부터 4만9900원 요금제까지는 통신사와 관계없이 무선 간 통화가 무한으로, 5만4900원 이상의 요금제에서는 유무선 간 통화도 무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요금제의 경우 음성과 문자, 데이터 사용량을 모두 고려하다 보니 요금제가 복잡했고, 특히 음성통화가 많아 높은 정액 요금제를 쓰는 고객은 데이터가 남는 경우가 많았으나 새로운 요금 체계에서는 데이터 이용량 기준으로 더 합리적인 요금제 선택이 가능하다.
KT 관계자는 "데이터 요금이 1GB당 약 5000원으로 설계돼 1GB당 약 1만원으로 설정한 미국 통신업체 버라이즌과 구글 등 해외 사업자에 비해 더 저렴하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5만원대 요금제 이상에서는 유무선 통화뿐 아니라 데이터도 무한으로 제공된다. 기본 제공량을 다 쓴 이후에도 1일 2GB가 속도 제한 없이 제공되며, 2GB 소진 시에는 최대 3∼5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무한 이용할 수 있다. 새로운 요금제는 정부가 최근 20%로 상향한 단말기 지원금에 상응하는 선택 요금 할인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요금제 가입자도 전환해 가입할 수 있다.
다만 요금 전환에 따른 위약금을 물지 않으려면 약정 기간 2년을 채워야 한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단말기 지원금을 받고 가입한 고객은 높은 요금제에서 낮은 요금으로 변경하려면 단말기 지원금 차액을 반환해야 한다.
한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비슷한 방식의 요금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시청 등이 늘어나는 '비디오 LTE' 시대를 맞아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반영해 2만원대 무제한 요금제를 비롯한 미래형 요금제를 다음 주에 선보일 계획이다. SK텔레콤도 현재보다 요금이 대폭 인하되고 혜택이 늘어나는 데이터 중심의 새 요금제 출시를 추진하고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