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WKBL 신선우 신임총재, 해결해야 과제들

by

신선우 사무총장이 WKBL 제 7대 총재로 선출됐다.

WKBL은 14일 서울 중구 달개비 컨퍼런스룸에서 제 18기 5차 임시총회를 열고 총재 직무대행인 신선우 사무총장을 제 7대 총재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용산고 연세대를 졸업한 신 신임 총재는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에서 주전 센터로 금메달 획득의 핵심 인물이었다. 현대 여자농구단과 남자 농구단과 KCC, LG, SK에서 프로팀 감독을 지낸 신 감독은 2012년 7월 사무총장으로 취임했다. 지난해 6월 사임한 최경환 전 총재의 공석을 1년간 대행체재로 이끌어 왔다. 신임 총재의 임기는 3년이다. 7월1일부터 총재로서 업무를 시작한다.

냉정히 말하면 WKBL 입장에서는 신 신임 총재 외에는 대안이 없었다. 그의 힘은 친분이 두터운 최경환 전 총재에서부터 나온다.

여권 실세인 최경환 명예총재는 경제부총리로 입각하며 WKBL 총재직을 사임했다. 하지만 명예총재로서 여전히 여자농구에 대한 애정이 많다. 그가 총재직을 맡으면서 여자농구에 긍정적인 부분이 많았다.

모기업이 금융권 기업인 탓에 최 총재를 중심으로 별다른 잡음없이 많은 투자를 했다. 여전히 최 경제부총리는 총재직을 맡을 수 없는 상황이다.

6개 구단은 최 경제부총리와 끈을 놓지 않기 위해서라도 신 총재대행을 총재로 선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WKBL은 코트에서 벌어지는 판정 문제와 인사 문제가 불투명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신 신임총재가 재임 기간 동안 해결해야 할 문제다.

신선우 감독이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비판받는 부분이다. 그가 전략적으로 키운다고 의심받고 있는 이지승 전 SK 코치가 별다른 연관이 없는 대표팀 코치에 선임된 것이 대표적 사례.

이 코치는 여자 프로팀 코치로 내정됐다는 루머가 끊임없이 도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신 신임총재는 현장과 행정을 모두 섭렵한 베테랑이다.

그의 능력을 의심할 순 없다. 최경환 총재와 직접적인 끈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WKBL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감각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총재로서 그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 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