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절반 이상은 10분도 안 돼 식사를 끝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식사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지방간 발생 위험이 더 커진다.
최근 고려대안산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8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52%가 10분 내 식사를 마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강북삼성병원에서 식사 속도에 따른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을 분석했더니, 먹는 속도가 빠를수록 지방간 환자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때문이 아니냐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 마른 사람만 추가로 조사했는데도, 식사 시간이 5분 미만이면 지방간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했다.
배가 부르면 위장관에서 식욕 억제 호르몬이 분비돼 뇌에서 그만 먹도록 신호를 보내기까지 15분 정도 걸리는데, 너무 빨리 먹어버리면 호르몬이 분비되기도 전에 섭취 칼로리가 늘어나 내장 지방이 쌓이고 지방간이 생긴다.
고병준 강북삼성병원 건진센터 교수는 "빨리 식사를 하게 된다면 식욕억제 호르몬이 작동하기도 전에 많은 양의 칼로리가 몸에 들어오게 되고 또한 더불어서 인슐린 효과를 떨어뜨려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15분 이상 천천히 꼭꼭 씹어 먹는 습관을 갖는 게 지방간을 비롯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스포츠조선닷컴>
식사 속도 빠르면 성인병 위험 식사 속도 빠르면 성인병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