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보험상품 공시이율 하락세, 그 이유는?

by

저금리 여파로 보험사들의 금리연동형 상품 공시이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1일 생명·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올해 1∼5월 사이 보장성·연금·저축성보험의 공시이율을 적게는 0.12%포인트, 크게는 0.47%포인트 내렸다.

삼성생명은 올해 1월 보장성보험의 공시이율이 5.56%였으나 5월 3.09%로 4개월 새 0.47%포인트 떨어졌다. 연금보험도 1월 3.57%에서 5월 3.15%로 0.42%포인트 하락했다. 연금보험을 제외한 저축성보험의 공시이율은 1월 3.66%에서 5월 3.27%로 0.39%포인트 내렸다.

한화생명의 보장성·연금·저축성보험은 올 1월 공시이율이 각각 3.55%·3.56%·3.68%였지만, 5월에는 나란히 3.25%로 0.27∼0.43%포인트씩 하락했다. 같은 기간 교보생명의 보장성보험(3.60→3.35%), 연금보험(3.37→3.02%), 저축성보험(3.60→3.13%)도 0.35∼0.37%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5월만 하더라도 각 보험사의 공시이율은 대부분 3.90∼4.10% 수준을 유지했으나, 불과 1년 사이에 3% 초반대로 내려앉아 2%대에 근접하고 있다.

손보업계도 사정이 비슷하다.

장기보험을 취급하는 주요 손해보험사 10개사의 평균 공시이율은 올해 1월 보장성보험 3.39%, 연금보험 3.37%, 저축성보험 3.46%였다.

그러나 5월 평균 공시이율은 보장성보험 3.19%, 연금보험 3.12%, 저축성보험 3.21%로 0.20∼0.25%포인트 내려갔다.

저금리 구조가 고착화하는 분위기에서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 이율을 인하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것이 보험업계의 설명이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