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존재감 확실한 에이스, 린드블럼-해커-유희관

by

감독들이 가장 아끼고 신뢰하는 선발 투수? 이닝소화능력이 먼저일 것 같다. 전력의 기본이 투수인데, 선발 투수에게 필요한 첫번째 요건이 이닝소화능력이다. 선발 투수가 역할을 해줘야 계산이 서는 야구가 가능하다. 내구성이 기본이다. 일정 수준의 구위가 뒷받침되고, 상황에 따른 위기 관리능력, 경기운영능력이 따라줘야 긴 이닝을 끌고갈 수 있다.

KIA 타이거즈 에이스 양현종은 8일 NC 다이노스전에 선발 등판해 4회를 넘기지 못하고 강판됐다. 3⅔이닝 동안 안타 6개, 4사구 4개, 4실점. 제구력이 흔들리면서 투구수가 증가해 4회를 버티지 못했다. 아웃카운트 11개를 잡으면서 무려 102개의 공을 던졌다. 여전히 평균자책점 1위(2.51)를 지키고 있으나 전반기에 비해 다소 힘이 떨어진 모습이다. 양현종이 조기에 마운드를 내주면서 KIA 불펜이 조기 가동됐다. 투구수 90개 완투승을 가져간 NC 선발 에릭 해커와 극명하게 대조가 됐다. 일시적인 컨디션 난조라면 다행이지만, 에이스의 최근 부진이 불안하다.

선발 투수의 평가하는 첫번째 기준이 평균자책점. 그런데 이닝소화능력을 기준으로 보면 조금 다른 그림이 나온다. 외국인 투수가 1~3위에 올라있다. 투구 이닝 '톱10' 중 7명이 외국인 선수다.

올시즌 최다 이닝을 던진 투수는 롯데 자이언츠 조쉬 린드블럼이다. 8일 SK 와이번스전까지 28경기에 등판해 186이닝, 경기당 6⅓이닝을 책임졌다. 평균자책점(3.29·4위)과 다승(13승·공동 4위) 부문 상위권에 랭크돼 있는데, 이닝이터로서 팀 기여도 또한 최고다.

NC 해커가 8일 KIA전까지 27경기에 나서 178⅓이닝, 경기당 6⅓이닝을 던져 2위다. 넥센 히어로즈의 좌완 앤디 밴헤켄이 28경기-175이닝-경기당 6이닝을 기록, 린드블럼의 뒤를 잇고 있다.

국내 투수 중에서는 삼성 라이온즈 윤성환과 두산 베어스 유희관이 최고다. 윤성환이 26경기-172이닝-경기당 6⅓이닝, 유희관이 25경기 169⅔이닝-경기당 6⅔이닝으로 4~5위에 자리했다. 두 투수 모두 빠른 공이 주무기가 아닌 제구력 위주의 투수라는 공통점이 있다. 강력한 구위가 있다면 좋겠지만, 효율적인 투구가 더 중요하다. 다승 공동 1위(17승) 유희관은 유일하게 경기당 평균 6⅔이닝을 책임졌다. 유희관 등판 때는 두산 벤치가 경기를 편하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양현종은 kt 위즈의 크리스 옥스프링(27경기-162이닝-6이닝)에 이어 7위에 이름을 올렸다. 28경기(선발 27경기)에 등판해 161⅓이닝, 경기당 5⅔이닝을 던졌다. 선발 등판 경기만 따져보면 경기당 6이닝 정도다. LG 트윈스 헨리 소사(26경기-160⅓이닝-6이닝), 삼성 라이온즈 알프레도 피가로(24경기-158이닝-6⅓이닝), KIA 조쉬 스틴슨(28경기-157⅓이닝-5⅓이닝)이 8~10위에 랭크됐다.

얼마나 효과적으로 타자를 상대했는 지 보여주는 지표가 이닝당 투구수. 해커가 14.9개로 최고였고, 윤성환과 유희관이 나란히 15.5개, 린드블럼이 15.8개로 뒤를 이었다. 양현종은 16.7개로 투구이닝 '톱10' 중 9위였다. 볼넷으로 위기를 자초하고 투구 증가로 고전했던 경기가 떠오르는 대목이다.

피말리는 순위 경쟁이 펼쳐지는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에이스의 역할이 더 커진다. 6이닝 이상을 견실하게 책임질 수 있는 에이스들이 더 확실한 존재감을 보여줄 시점이다.

광주=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