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20세 이하 월드컵 개최도시, FIFA 발표만 남았다

by

이제 발표만 남았다.

2017년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 월드컵 개최 도시 발표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FIFA 조직위원회는 25일(이하 한국시각) 스위스 취리히의 FIFA 본부에서 열릴 FIFA집행위원회에 보고를 마친 뒤 대회 개최 도시 6곳을 공개할 예정이다. 당초 발표일은 22일이었다. 그러나 FIFA에서 집행위원회 안건 보고 후 발표로 조정하면서 일정이 연기됐다.

후보 도시 경쟁률은 지난 1일 FIFA 실사가 이뤄지기 직전 다소 낮아졌다. 기존 대회 개최를 희망하는 9개 도시(대전, 서울, 수원, 울산, 인천, 전주, 천안, 포항, 제주) 중 포항이 자진포기했다. 예산 타당성 검사를 한 뒤 발을 뺐다. 포항은 대회 유치금 3억원 뿐만 아니라 대회를 치를 포항스틸야드의 개보수 비용으로 20억원 이상을 진단했다. 대회 기간 내 세 경기를 배정받아도 23억원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FIFA 실사 결과, 8개 도시의 경쟁은 한 마디로 '박빙'이다. 축구협회 관계자는 "8개 도시 중 두 군데가 탈락되는 상황이다. 상당히 경쟁이 치열하다더라"고 밝혔다. 이어 "수도권이라고 해서 높은 점수를 받지 않았고, 지방이라고 해서 불이익도 없었다고 하더라. 어느 도시 하나 FIFA의 요구 기준에 떨어지는 것 같지 않다"고 덧붙였다.

1~10일까지 벌인 실사에서 FIFA가 초점을 맞춘 부분은 개최 후보 도시의 축구에 대한 열기와 관중 동원 능력이다. FIFA 실사단은 훈련장, 교통, 경기장, 숙박, 의료 시설은 기본적인 것이고, 그 도시의 축구 열기와 관중 동원력을 집중적으로 보고 돌아갔다고 한다. 협회 관계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점수화시킬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FIFA에서 유심히 관찰하고 갔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장 규모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월드컵 개최에 충족되야하는 4~5만명 규모의 경기장보다 오히려 작은 규모의 운동장이라도 꽉 찬 관중들 속에서 선수들이 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FIFA 실사단이 강조하는 요소를 충족시킨 도시는 세 군데로 압축된다. 우선 수원시다. 수원은 FIFA 실사가 이뤄지는 기간 30개 시·군의 지지서명서와 시민서명서를 전달했다. 무엇보다 12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대전과의 홈 경기에선 올 시즌 K리그 주중 최고 관중인 1만7148명의 구름 관중이 운집해 뜨거운 열기를 발산했다.

전주시도 FIFA 실사단에 제대로 어필했다. 전주시는 전북 현대의 K리그 관중 동원 2위(인구수 대비 1위·4일 기준)를 강조하며 관중동원력에서 큰 점수를 얻었다는 평가다. 마지막으로 제주시다. 메르스 사태로 연기됐던 중국 상하이 선화와의 친선경기가 때마침 20세 이하 월드컵 개최 기원과 맞물려 FIFA 실사단의 눈길을 사로잡았다는 전언이다.

김진회기자 manu35@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