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대' 트레이너가 말하는 대표팀 "다 아팠다"

by

프리미어 12는 끝났지만 여운은 가시지 않는다. 결승전(21일)이 끝나고, 대표팀이 귀국(22일)했어도 주변에서는 여전히 프리미어 12 얘기다. 한국의 초대 챔피언 등극은 그만큼 '이변'이자 '쾌거'였다.

김인식 대표팀 감독은 이번 대회 100% 전력을 가동하지 못했다. 부상 선수 속출, 원정 도박 파문 등으로 핵심 선수 몇 명이 빠졌다. 준비 기간도 턱없이 부족했다. 한국시리즈 기간 동안 훈련이 시작됐고, 두산과 삼성 선수들은 시리즈가 끝나자마자 대표팀에 합류했다. 애초 결승 진출은 기대하지도 않았다. 한국의 우승이 놀라운 이유는 또 있다. 원래 베스트 전력이 아닌 데다가, 28명 엔트리에 든 선수들마저 몸 상태가 완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인식 호' 트레이너로 선수들의 몸을 책임진 조대현 NC 트레이닝 코치는 누구보다 이를 잘 알고 있다. 그는 "치료실 '단골 손님'이 꽤 됐다"는 표현을 썼다.

조 코치는 24일 "(준플레이오프부터 포스트시즌을 치른) 두산 선수들이 지쳐 있는 상태였다. 아픈 선수도 많았다"며 "양의지는 발가락, 김재호는 양쪽 종아리, 민병헌은 도미니카공화국전에서 발등 부상을 당했다. (민)병헌이의 경우, 회복이 안 된 상태에서 참고 출전했다"고 밝혔다. 설명은 계속됐다. "강민호는 허리, 박병호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좋지 않았다. 이대호는 재팬시리즈 때 입은 손바닥 부상이 낫지 않았다. 준결승까지는 테이핑을 하고 경기에 출전했다. 투수 쪽을 봐도 불펜진은 대회 초반 회복 훈련 위주로 스케줄을 짤 정도였다. 다행히 대회 중반부터 몸이 올라왔고 선수들의 밸런스가 좋아지는 걸 느꼈다. 이대은의 경우에는 골반이 뻣뻣해 더 신경 써서 관리를 했다."

이런 선수들을 곁에서 지켜보는 조 코치의 마음은 편할 리 없다. 그 중 테이블세터 이용규는 누구보다 안타까운 선수였다. 이번 대회 정근우와 함께 테이블세터를 꾸린 이용규는 준결승까지 팀이 치른 7경기 중 6경기에 출전해 24타수 4안타, 타율 1할6푼7리를 기록했다. 출루율은 2할5푼9리, 장타율 1할6푼7리. 베네수엘라 전에 앞서 몸살 증세에 급체까지 하며 컨디션이 뚝 떨어진 결과였다. 일본과의 결승전에서 결승타를 치며 부진을 만회하기 전까지는 마음 고생이 심했다.

조 코치는 "흔히 몸살을 한 번 앓고 나면 밸런스가 완전히 무너진다. 회복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이용규도 며칠 힘들어 했다. 그러다가 막판에 살아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대회 스케줄에 아쉬움을 표했다. 일본의 '꼼수'로 제대로 된 치료조차 힘들었다는 것이다. 그는 "처음에는 스프링캠프에 온 줄 알았다. 국제대회라고 하면 스케줄에 여유가 있고 주변 환경도 좋은데, 이번 대회는 아니었다"며 "이동도 많고 스케줄이 빡빡했다. 선수를 치료할 시간도 부족해 새벽 2시까지 일한 날도 꽤 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한국은 우승을 했다. 일본의 콧대를 꺾고 조별리그에서 패한 미국을 결승에서는 8대0으로 대파했다. 조 코치는 "선수들이 대단하다. 메리트가 없는 대회에서 다들 우승하자고 힘을 모으더라"며 "버스 안에서는 이대호, 정근우가 기를 살리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형제처럼 서로 지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또 "이대호, 정근우, 이용규는 밥값으로만 많은 돈을 썼을 것이다. 개막전부터 결승전까지 이번 대표팀은 언제나 분위기가 최고였다"면서 "흔히 말하는, 성적이 아주 좋은 팀이 연승을 탈 때 느낌이었다. 지친 상태로 이 정도 경기력을 보이니 놀라웠다"고 말했다.

함태수 기자 hamts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