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SUV 신차 시장서 점유율 40% 돌파…인기몰이는 높은 재구매율?

by

레저용으로 많이 쓰이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신차 내수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를 겪고 있지만 SUV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40%를 넘어선데 이어 중고차 시장에서도 SUV가 시장 성장을 주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인기몰이는 레저 인구가 갈수록 증가하는 데다 높은 재구매율, 신차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새로 등록한 자동차 13만2038대 가운데 SUV 차종은 5만3206대로 전체의 40.28%를 차지했다. 2011년 19%에 불과했던 국내 자동차 판매 시장 내 SUV 비중은 불과 5년 만인 지난해 35%까지 뛰었고, 올해 들어 마침내 40%를 넘어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SUV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국내 판매 모델 수도 급증했다. 2010~2016년 사이 현대차 베라크루즈, 쌍용차 카이런, 르노삼성 QM5 등 3종이 단종 됐지만 현대차 맥스크루즈, 기아차 니로, 한국지엠 트랙스, 쌍용차 티볼리·코란도C, 르노삼성 QM3·QM6 등 7종이 새롭게 선보였다.

이처럼 새로운 모델이 잇따라 출시되고 저유가 기조, 여성 겨냥 신규 마케팅 등이 맞물리면서 SUV 판매는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이 같은 'SUV 돌풍' 현상은 한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SUV 시장 규모는 2010년 800만대에서 2016년 3배인 2400만대로 불었고,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의 비중도 같은 기간 11.2%에서 26.8%로 치솟았다. 더구나 올해 들어선 4월까지의 점유율이 28%로, 지난해보다 더 높아졌다.

중고차 시장에서도 최근 SUV 인기가 뚜렷하다. 자동차 전문 쇼핑사이트 SK엔카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이 사이트에 등록된 매물을 차종별로 분석한 결과, 국산 차 중에서는 SUV가 2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세단 대형차(20.9%), 중형차(17.5%) 등의 순이었다.

수입차에서도 SUV 차종은 세단 중형차(33%)에 이어 2위(21.1%)에 올랐다. 1년 전인 지난해 상반기 비중 3위에서 한 계단 높아진 것이다. SK엔카 관계자는 "SUV는 중고차 시장에서도 높은 잔존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디젤 엔진 모델의 경우 연식과 주행거리에 큰 상관없이 인기가 많다"고 전했다.

이처럼 신차와 중고차 시장에서 모두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소비자의 강한 충성도가 한 몫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투자증권은 국제 자동차 전문 조사기관 IHS의 통계를 인용해 글로벌 시장에서 SUV의 재구매율이 지난해 거의 60%에 육박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약 50%인 세단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한국투자증권은 "SUV는 재구매율이 세단보다 높을 뿐 아니라 재구매율 자체가 상승하는 추세"라며 "한 번 SUV를 경험한 소비자는 다시 SUV를 구매한다는 뜻으로, SUV 인기는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잇달아 신형 SUV를 출시해 'SUV 열풍'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쌍용자동차는 지난 5월 대형 SUV 시장의 독보적 강자로 통하던 기아자동차의 모하비를 겨냥한 G4 렉스턴을 출시했다. G4 렉스턴은 출시 전부터 사전계약 5000대를 달성하며 큰 관심을 받은데 이어 현재는 계약해도 차량을 실제 인도받으려면 한 달 가량 기다려야 할 정도로 인기다.

현대·기아자동차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소형 SUV 시장을 정조준했다. 현대차는 지난 13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이 직접 나서 첫 소형 SUV인 코나의 출시를 공식 선언한 바 있다. 이어 지난 20일에는 기아차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소형 SUV 스토닉을 최초로 공개해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일부에서는 SUV 보급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잠재 수요가 감소했고 유가 역시 상승세라는 점에서 SUV의 인기가 한 풀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신차 효과 등으로 SUV의 인기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SUV에 대한 고객의 관심은 여전히 유효한 만큼 인기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가운데 새롭게 출시될 소형 SUV가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가 향후 SUV 시장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