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6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반토막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7년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5월 상품과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59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12년 3월부터 63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하면서 사상 최장 흑자 기록을 다시 썼다. 흑자 규모는 지난 4월(38억9000만달러)보다 20억5000만달러 늘면서 석 달 만에 최대를 기록했지만, 1년 전인 지난해 5월(104억9000만달러)과 비교하면 45억6000만달러(43.4%)나 줄었다.
우선 상품수지 흑자 폭이 크게 축소됐다. 상품수지 흑자는 88억3000만달러로 작년 5월(108억6000만달러)에 비해 20억2000만달러(18.6%) 줄었다. 이러한 상품수지 흑자 축소에 대해 한국은행은 유가 상승과 설비투자 기계류 도입에 따른 수입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수출은 469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2% 늘었고 수입은 380억6000만달러로 20.1% 증가했다. 경상수지에서 서비스수지 적자는 16억9000만달러로 작년 5월(10억7000만달러)보다 늘었다. 특히 여행수지 적자는 13억6000만달러로 작년 5월(2억5000만달러)의 5배가 넘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매년 5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적자 규모다. 한반도 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감소 영향이 컸다.
운송수지는 2억6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고 건설수지 흑자는 지난 4월 5억3000만달러에서 5월 4억 달러로 줄었다. 반면, 지식재산권사용료 수지 흑자는 2억4000만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급료·임금과 배당, 이자 등 투자소득을 가리키는 본원소득수지는 6억9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의 국내송금 등 대가 없이 주고받은 거래인 이전소득수지는 5억2000만달러 적자로 파악됐다.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25억8000만달러 늘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