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백화점 소매판매, 올들어 계속 '뒷걸음질' 왜?

by

최근 소비심리 개선 신호가 감지되고 있지만, 올들어 백화점 소매 판매는 '마이너스'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백화점의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 감소해 올들어 계속 내리막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0.5% 증가했던 백화점 소매판매는 올해 1월 전년 대비 1.5% 감소했고, 2월과 3월에도 각각 5.6%, 3.5%씩 줄었다. 4월엔 감소율이 2.2%로 줄어드는 듯했으나 5월 들어 다시 감소폭이 커졌다. 이처럼 백화점 소매판매가 5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2014년 9월∼2015년 1월 이후 2년4개월 만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에도 백화점 소매판매는 줄었을 가능성이 크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1∼27일 매출은 신규 점포를 제외한 기존점 기준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고, 현대백화점도 같은 기간 매출이 1.6%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백화점의 '역성장'에 대해 소비 위축보다는 최근 쇼핑 트렌드 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리 추구 경향이 강한 요즘 소비자들이 백화점에서 사던 의류를 온라인몰이나 아울렛에서 사는 등 소비 패턴이 달라졌다는 것. 올해초부터 5월까지 백화점 소매판매는 줄었지만, 전체 소매판매액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4.1%로 매달 꾸준히 증가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인터넷 쇼핑 소매판매액지수는 1월 전년보다 11.5% 늘었고 2월에는 24.3%까지 증가 폭이 커지는 등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울렛이 포함된 기타 대형마트 소매판매액지수도 올해 1월 23.1%, 2월 31.9% 각각 증가했고 3월엔 9.7%, 4월 7.6%, 5월 4.1%씩 성장했다.

이로 인해 전체 소매판매액 가운데 백화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11월 9.8%까지 치솟았다가 줄어, 지난 5월 기준 7.2%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아울렛이 포함된 기타 대형마트 비중은 5월 기준 13.4%로 전년 동기와 같았고, 인터넷 쇼핑이 포함된 무점포소매의 소매판매액은 14.6%로 1.4%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집계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