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 '인사 평가제도 신뢰 안해'

by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은 사내 인사 평가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대기업·중견기업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사평가제도에 대한 직장인 인식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75.1%는 "인사평가제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부문별로 보면 '평가기준의 합리성'(36.6%), '평가과정의 투명성'(38.6%), '평가결과의 공정성'(36.9%) 등 모든 항목에 걸쳐 '동의한다'는 긍정응답이 40%를 밑돌았다.

직장인들은 이같이 응답한 이유를 '사내정치에 따른 평가'(58.8%), '개인 이미지로 평가'(41.2%), '연공서열'(35.5%), '온정주의적 평가'(27.5%) 순으로 꼽았다.

실제로 전자부품업체 A과장은 "평가기준이 불명확하고, 평가과정도 일방적인데다 근거마저 불분명하다"며 "상위고과를 받기보다 찍혀서 하위고과만 안 받으면 다행으로 생각하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원칙 따로 현실 따로인 평가관행이 인사평가에 대한 불신을 더욱 부채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평가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 대해 '조직공헌도'(37.8%)보다는 '평가자에 대한 충성도'(62.2%)를, '과정'(29.8%)보다는 '결과'(70.2%)를, '혁신적 태도'(33.7%)보다는 '보수적 태도'(66.3%) 등을 꼽았다.

이는 최근 많은 기업들이 도전과 협업, 법령과 규범 준수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업무현장에서 이런 원칙들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인사평가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상당수 직장인들은 의구심을 표명했다.

개인과 회사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응답으로는 '회사·개인 모두에 도움이 안된다'가 44.1%, '회사에만 도움된다'가 34.6%를 차지했다. '회사와 개인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답변은 16.9%에 불과했다.

인사평가의 동기부여 효과에 대해서는 '오히려 의욕을 꺾는다'는 답변이 43.5%, '아무 영향력 없다'가 16.5%를 차지했다.

인사평가에 대한 불신은 인사관리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평가결과와 인사관리가 연계되는지를 묻자 61.1%가 '연계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평가결과가 임금인상과 승진에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도 각각 절반에 가까운 49.9%와 46.2%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직장인들이 인사평가제도의 효과를 의심하는 이유 중 하나로 기업의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평가문화를 지적했다. 대한상의가 인사부서장 700여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상사가 단독 평가하는 '하향식 평가'를 적용하는 기업이 51.8%로 절반을 상회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구시대적 인사평가관행이 상시야근, 실적중시·규범무시, 도전기피 등 부정적 기업문화의 근인(根因)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창의와 혁신의 기업문화를 추구하려면 문제의 근본원인인 후진적 인사평가관행부터 선진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