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프리드라이프, 안전한 상조회사 등극 '상조업 주요정보 공개 자산총액, 선수금 1위'

by

프리드라이프가 2017 가장 안전한 상조회사로 등극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지난달 말표한 '2017년 상반기 선불식 할부거래업(상조업) 주요 정보 공개'에 따르면, 2017년 3월 말 기준 전국 상조업체 중 자산총액 6천억을 넘긴 회사는 '프리드라이프'가 유일했다. 프리드라이프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6458억 원의 자산을 기록했으며, 현금성 자산만 약 3136억 원을 달성해 상조업계 1위 타이틀을 공고히 했다.

선수금도 1위를 차지했다. 프리드라이프는 2017년 3월 기준으로 6551억 원의 가장 많은 선수금을 보유, 제1금융권 우리은행, 신한은행과 소비자피해보상금 지급보증계약 및 예치계약을 체결했다. 선수금은 가입자들 이 회사에 납입하는 것으로, 상조회사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여겨진다.

이를 바탕으로 상조회사 가입 시에는 가입하려는 회사의 '선수금 보전기관'과 '계약유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프리드라이프 문호상 영업부문 대표이사는 "은행과의 채무지급보증계약은 상조회사에 소비자 피해 발생사유가 생기면 불입액 중 일정금액에 대하여 은행이 보상 지급한다는 계약으로, 선수금 보전방법 중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은행의 지급보증을 통해 선수금을 보전하는 전국 186개의 상조회사 중 단 6곳에 불과하다. 프리드라이프, 더케이예다함상조, 교원라이프, 좋은라이프, 라이프온, 디에스라이프가 해당한다. 프리드라이프의 경우, 제1금융권인 우리은행, 신한은행과 소비자피해보상금 지급보증계약 및 예치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상조회사의 부도나 폐업 등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인 '지급여력비율'과 '부채비율'도 확인해야 한다. 지급여력비율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선수금 대비 상조관련 자산의 비율로, 이 비율이 높은 상조업체일수록 폐업 등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통상 100%가 넘어야 가입자들의 납입금을 온전히 보전해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번 공정위 발표에 따르면, 업계 평균 지급여력비율은 여전히 90%에 불과하다. 자산총액 기준 상위 10개 업체 중에서도 절반 이상인 6곳이나 100%를 밑돌았다. 자산 기준 상위 10개의 대형 상조회사 중 지급여력비율이 100%가 넘는 곳은 단 3곳으로 프리드라이프, 더케이예다함상조, 좋은라이프, 라이프온이 속한다.

문호상 대표이사는 "자산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폐업 등의 위험이 적다"며, "소비자들은 부채비율이 100% 이하인 안전한 상조회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국 상조회사 재무현황을 비교해볼 수 있는 '2017년 상반기 상조업 주요정보공개'는 공정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