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백화점 웃고, 전통시장 울고…희비 엇갈린 추석 매출

by

열흘간의 황금연휴였던 이번 추석 대목에 백화점은 매출이 올랐지만, 전통시장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고가 프리미엄 선물세트와 5만원 이하 실속형 세트가 고루 잘 팔려 매출이 올랐다.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2일까지 롯데백화점의 추석 선물세트 본 판매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비교적 저렴한 가공식품·생필품 선물세트 매출 신장률이 9.5%로 가장 높았고, 건강 7.4%, 축산 4.6%, 청과 4.1%, 수산 -1.9%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롯데백화점이 추석을 맞아 100세트 한정으로 선보인 한우 프리미엄 선물세트인 'L-No.9세트'는 한 세트 가격이 130만원인데도 준비한 물량이 일찌감치 동났고, 360만원짜리 '법성수라굴비세트'도 20세트가 조기에 완판되는 등 초고가 프리미엄 세트도 반응이 좋았다. 롯데백화점의 추석 연휴 기간(9월 30∼10월 7일) 매출은 기존점 기준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3%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세계백화점은 예약판매와 본 판매를 합친 추석 선물세트 판매실적이 지난해 대비 12.6%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추석 연휴 기간 매출도 스포츠용품(26.9%)과 남성복(19.7%) 등이 높은 신장률을 보이면서 전체적으로 9.1% 늘었다.

현대백화점은 8월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된 추석 선물세트 판매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 소폭 신장하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정육(-0.1%), 수산(-0.8%), 청과(-1.1%) 등은 부진했지만, 홍삼(10.9%), 비타민(8.4%) 등 건강식품과 버섯(18.4%)을 비롯한 신선채소 매출이 호조를 보였다. 현대백화점의 추석 연휴 기간(9월 30∼10월 7일) 매출 신장률은 7.0%로 전해졌다.

대형마트는 업체별로 다소 실적 차이를 보였다. 업계 1위인 이마트는 추석 선물세트 매출이 전년보다 3.2% 감소한 반면, 홈플러스는 2.5%, 롯데마트는 2.2%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형마트의 경우 5만원 이하 선물세트의 매출 비중이 70∼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전통시장은 이번 추석 연휴에 작년보다 무려 30% 이상 매출이 떨어졌다는 분위기다. 고객들이 시장 주변에 있는 대형마트를 찾은 데다, 긴 연휴로 인해 국내외 여행을 떠나면서 오히려 대목을 망쳤다는 것이 상인들의 분석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