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작년 주택가격 상승률, 전년도의 2배…전세시장은 '안정'

by

지난해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규제에도 주택가격 상승률이 전년도의 2배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 대비 1.4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상승률 0.71%에 비하면 오름폭이 2.08배로 확대된 것이다.

광역시·도 가운데 지난해 세종시의 집값이 4.29%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서울이 3.64%로 뒤를 이었다.

정부 규제에도 이들 지역에 투자수요와 실수요가 여전히 몰리고 있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분석이다.

2016년 1.84% 하락했던 대구는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1.29%로 상승 전환했다.

경기(1.67%)와 인천(1.42%), 강원(2.40%) 등도 전년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그러나 경남(-1.62%), 울산(-1.08%), 충남(-0.53%), 충북(-0.36%), 경북(-0.90%) 등은 집값이 하락했다.

이들 지역은 조선업종 구조조정 등 지역 경기 불황과 입주물량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2.67%, 아파트 1.08%, 연립주택이 1.07% 오르며 전체적으로 전년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매매와 달리 전셋값은 안정세를 보였다.

이에따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짝수해보다 홀수해에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던 '홀수해 법칙'이 깨졌다.

감정원 조사 기준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 상승률은 0.63%로 전년도(1.32%)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서울의 전셋값이 2.03%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반면 입주물량이 몰린 세종은 전셋값이 7.05% 떨어져 하락률 1위를 기록, 매매 시장과 대조를 이뤘다.

업계는 전세시장의 안정세의 이유로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와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투자방법)'가 늘어난 점 등을 꼽고 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