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헬스&닥터]'황사'를 이기는 건강관리법!

by

본격적인 황사철이 시작됐다. 황사란 봄철에 중국이나 몽골사막에 있는 모래 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 대기에 위해 물질을 증가시키는 현상이다.

오래전부터 있었던 현상인 황사의 폐해에 요즘 더 예민해 지는 것은 중국의 산업화에 더불어 규소, 납, 카드뮴 등 중금속 농도가 증가하면서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이 더 심화됐기 때문이다.

원래 우리 몸에 존재하지 않는 중금속이 몸에 차곡차곡 쌓이면 스트레스와 염증을 일으킨다.

중금속은 주로 호흡기와 소화기를 통해서 우리 몸에 들어온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 등 황사의 물리적인 체내 침투를 막는 것에 더해, 각자가 건강관리를 통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대응책은 호흡기와 소화기의 정상적인 방어기전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우선 황사가 발생했을 때에는 하루에 물을 적어도 8잔 이상 마시는 것이 좋다. 황사에 가장 취약한 조직은 호흡기로, 수분이 부족하면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져 유해물질의 침투를 더 쉽게 하기 때문이다. 따뜻한 물이나 음료수를 적어도 하루에 1.5리터 이상 섭취하도록 한다.

둘째, 섬유질이 많은 잡곡밥과 제철 과일, 야채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황사먼지나 중금속은 장을 통해서도 몸에 들어오는데, 유해물질의 배출을 늘이려면 섬유질이 많은 과일과 채소를 섭취해서 장 운동을 항진시켜 체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특히, 황사먼지나 중금속은 우리 몸의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을 증가시킨다. 엽산과 비타민 C, 비타민 B 등 과일과 야채에 많은 항산화 영양소들은 이런 산화스트레스를 막아주기 때문에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황사철에는 평상시보다 열량 섭취가 줄지 않도록 동물성 식품 섭취를 조금 늘이거나, 간식을 통해 열량을 평소보다 100~200㎉ 정도 조금 늘리는 것을 권장한다. 과일과 야채 섭취가 늘면 자연스레 다른 영양소를 통해 몸으로 흡수되는 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봄철은 신진대사가 항진되면서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제때 하는 것이 기본이다. 장은 장으로 들어오는 음식물을 바로 이용해 움직이고 영양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음식을 먹어도 제때 식사를 하지 않으면 장의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작용할 수 없다.

황사철이 되면 황사 때문에 운동을 줄여야 하지 않냐 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황사가 심하다고 전혀 움직이지 않으면 몸의 나쁜 물질을 없애주는 기능도 떨어진다. 때문에 황사가 심하다고 움츠리지 말고 반드시 몸을 움직여줘야 한다.

하지만, 고령에 폐질환과 천식 등 호흡기질환이 있거나, 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사람은 습도와 기온의 변화, 유해물질로 인한 혈관 수축 등으로 뇌졸중을 당하거나 기존의 호흡기 질환이 악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황사가 심한 봄철에는 실외 운동을 과도하게 하기 보다는 실내에서 걷기 운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호흡기 질환은 허약한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기 쉬우므로 규칙적인 근력 운동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황사가 심한 시기에는 감정조절을 못해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흡이 빨라져 나쁜 물질의 흡수가 늘기 쉽다. 황사마스크를 쓰는 것과 함께 제 때 먹고 무리하지 않게 운동하며, 스트레스를 잘 조절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박민선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