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노후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금액은 월 200만원 정도로, 이를 위해 월 41만원 정도 저축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5일 발표한 '은퇴준비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성인남녀 1953명이 노후 필요소득으로 응답한 금액 평균은 월 198만원이다. 2016년 조사에선 193만원, 2014년 조사에선 207만원이었다.
노후에 대비한 저축액은 월 41만원이다. 2016년(40만원)과 비슷하지만, 2014년(15만원)보다는 부쩍 늘었다.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 가입률은 78%, 퇴직연금은 35%, 개인연금은 45%다. 이들의 순자산(부채를 뺀 자산)은 3억9911만원, 이 가운데 거주주택 자산은 2억8045만원이다. 은퇴준비지수 산출에 쓰이는 재무실행점수는 2014년 53.6점에서 2018년 67.8점으로 상승했다. 주로 거주주택 자산 가치 상승 덕분이었다.
건강실행점수는 전체 응답자 평균이 59.1점으로 2016년(55.6점)보다 개선됐다. 만성질환·중증질환 보유율이 상승했지만, 금연·절주·운동 등 건강생활 습관 실천 비율도 높아진 결과다. 또 기혼자들은 맞벌이하는 남성과 여성 모두 홀벌이 하는 경우보다 노후 건강 준비가 더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실행점수에 영향을 주는 여가시간은 모든 연령대에서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30대는 2014년 8.1시간에서 2018년 4.8시간으로, 40대는 7.9시간에서 4.9시간으로 확 줄었다. 보고서는 "30·40대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해 여가시간이 가장 적은 양상"이라며 "2016년 이래 5시간 안팎으로 감소해 워라밸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소득 수준 별로는 고소득층이 여가를 더 잘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550만원 이상 집단은 여가활동 다양성, 여가시간, 인적 네트워크, 자기계발 등에서 모두 월등해 활동실행점수가 50.1점으로 나타났다. 월소득 250만원 미만 점수는 38.6점이다. 소득이 낮으면 당장 경제적 여유가 없어 여가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한 준비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 재무, 건강, 활동, 관계 등 점수를 종합한 은퇴준비지수는 2014년 57.2점에서 2016년 55.2점, 2018년 54.5점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은퇴준비지수'는 은퇴준비의 필수항목으로 선정된 재무, 건강, 활동, 관계 영역에 대해 응답자의 '실행점수'를 먼저 구하고, 은퇴준비에 대한 주관적 평가인 '자기 평가점수'를 반영해 산출했다. 아울러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위험'(0∼50점 미만), '주의'(50∼70점 미만), '양호' (70∼100점) 등 3가지로 구분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