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조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체가 58%로 과반수 이상인 반면, 원사업자로부터 납품단가를 인상 받았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17%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그만큼 중소제조업체가 느끼는 원가부담이 커졌다는 의미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3월 대기업과 하도급거래를 하는 중소제조업 504개사를 대상으로 '중소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제조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가 57.7%, 하락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0.6%로 나타났다.
제조원가가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들의 평균 상승률은 6.6%, 평균 하락률은 9.3%로 조사됐다. 제조원가의 평균 구성비중은 재료비 56.6%, 노무비 27.0%, 경비 6.5% 등이었다. 섬유·의류(33.2%), 조선(30.2%) 업종의 노무비 비중은 다른 업종보다 높았다.
반면 납품단가는 대부분의 업체에서 제자리걸음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납품단가가 '변동없음'이라고 응답한 업체의 비중이 7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상됐다'고 응답한 업체는 17.1%, '하락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6.7%로 나타났다.
원사업자로부터 부당한 단가 인하를 경험한 업체는 12.1%로 전년(14.3%)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섬유·의류 업종은 평균보다 2배 높은 21.6%로 나타나 납품단가 불공정행위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사업자가 부당하게 납품단가를 인하하는 방법은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 유도'(34.4%)가 가장 많았고, '추가 발주를 전제로 단가를 인하'(23.0%)가 그 뒤를 따랐다.
응답한 중소 제조업체 10곳 중 7곳은 올해 최저임금 인상이 제조원가 인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반면 제조원가 상승분이 납품단가에 공정하게 반영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37.2%에 불과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영부담이 가중될 것을 우려하는 업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제조원가 인상이 납품단가에 공정하게 반영되려면 '원사업자의 자발적 인식변화를 통한 공정원가 인정문화 확산'(48.4%)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적정한 납품단가가 보장될 때 중소제조업체도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혁신을 할 수 있다"며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공정거래 문화를 정착하고, 정부는 납품단가 반영 실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