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의 승부가 6-7이 되고 말았다. 2연패에 빠진 삼성 라이온즈는 어디서부터 꼬였을까.
삼성은 최근 2연패, 두산전 3연패, 홈 두산전 9연패에 빠졌다. 지난해 5월 3일 경기부터 유독 대구에서 두산만 만나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10일 경기에서도 초반에 마운드가 무너지며 1대8로 패했던 삼성은 11일 두산에 6대7로 졌다.
시리즈 첫날이었던 10일 경기 패배보다 11일 경기 패배의 충격 여파가 더 크다. 전날은 4개의 수비 실책 때문에 스스로 자멸한 경기였다면, 이튿날에는 엇박자 투수 교체 타이밍이 큰 화를 부르고 말았다.
이날 선발은 삼성의 '슈퍼 루키' 양창섭이었다. 고졸 신인답지 않은 경기 운영 능력으로 시즌 초반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투수다. 하지만 양창섭은 초반부터 제구가 좋지 않았다. 볼이 많았다. 두산 타자들이 유인구에 배트가 쉽게 나오지 않아 투구수가 빨리 불어났다.
다행히 양창섭이 위기 관리 능력을 발휘해 4회까지 1실점으로 최대한 틀어막고 있었고, 삼성 타자들이 1~2회에만 5점을 내주면서 삼성에게 유리한 분위기가 형성됐다.
5-1 리드가 5회초까지 이어졌다. 삼성 입장에서는 팀 승리와 더불어 양창섭의 선발승도 의미가 있었다. 양창섭이 5회까지만 리드를 지키며 버틴다면, 시즌 2승을 수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무리는 아니었다.
그러나 투구수가 100개에 육박한 양창섭은 급격히 힘이 떨어졌다. 5회초 2아웃 1루 상황에서 김재호에게 풀카운트에서 제구가 안되며 볼넷을 내준 것이 컸다. 주자가 2명으로 불어났지만, 삼성 벤치는 한 타자 더 밀어붙였다. 다음 타자가 안타 없이 볼넷 2개를 골라나갔던 8번 김민혁이었기 때문이다.
결과는 참패로 돌아왔다. 2B에서 카운트를 잡기 위해 들어오는 공을 김민혁이 놓치지 않았고, 중견수 오른쪽으로 흘러가는 2타점 적시 2루타를 때려냈다. 양창섭은 다음 타자 허경민에게도 안타를 내주고 말았다.
삼성 벤치가 부랴부랴 투수를 김승현으로 교체했다. 김승현이 첫 타자 정진호에게 1타점 2루타를 허용했고, 양창섭은 승리 요건을 갖추지 못한채 4⅔이닝 4실점(3자책)으로 물러나고 말았다.
이후 삼성은 최충연-심창민으로 이어지는 필승조를 가동했으나, 두산 타자들에게 당하고 말았다. 최충연이 6회초 등판해 볼넷과 안타를 허용했고, 도루까지 2개를 내주며 정신 없이 2사 2,3루 위기에 몰렸다. 이윽고 김재호에게 던진 직구가 통타당하면서 역전 스리런 홈런을 얻어맞았다. 삼성에게는 두고두고 속이 쓰린 장면이다. 9회말 이원석의 솔로 홈런이 터졌지만 끝내 승리는 하지 못했다.
결국 투수 교체 실패가 삼성을 연패로 몰아넣었다. 두산과의 주중 3연전에서 리살베르토 보니야-양창섭을 차례로 냈지만 2패에 그친 삼성, 마음은 급한데 좀처럼 연승 기회가 오지 않는다.
대구=나유리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