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칸(프랑스)=이승미 기자]배우 유아인이 '버닝' 속 연기에 대해 이야기 했다.
18일(현지시각) 오전 프랑스 칸 마제스틱 비치에서 한국영화로는 유일하게 경쟁부문에 초청된 영화 '버닝'(이창동 감독, 파인하우스필름 제작) 한국 매체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날 인터뷰에는 유통회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소설가를 꿈꾸는 무력하고 가난한 청춘인 종수 역의 유아인, 어느 날 나타난 종수 앞에 돈과 여유를 모두 갖춘 미스터리한 남자 벤 역의 스티븐연, 종수의 어린 시절 친구이자 그가 사랑하는 여자 해미 역의 전종서, 연출을 맡은 이창동 감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유아인은 마지막 장면에 대해 "가장 테이크를 적게 갔던 신이다. 사실 더 갈 수도 있었는데 눈도 내리고 하늘 빛도 그렇고 흐름 자체가 이 순간이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닌가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영화에 정말 가짜가 하나도 없다. 실제로 담을 수 있는 건 최대한 기다리고 최대의 접근으로 찍었다. 하늘 공기 빛 이런 것들을 가짜로 가져가는 게 아니라 실제적인 감각을 제공하기 노력이 수반되었던 것 같다. 그런 기다림이 즐거웠다. 가디려야 될 걸 다리니까. 즐거웠다"고 말했다.
이날 유아인은 '버닝'으로 인해 "앞으로 죄의식이 줄어드는 연기를 펼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그는 "어떤 현장이나 작품에서 옳고 그름을 따질 수는 없다. 저마자 현장에서 요구하는 게 있고 반응하는게 있는데 이창동 감독님의 영화는 고유한 영화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다른 작품에서는 내가 깊숙이 다다갔을 때 현장의 분위기를 잘 못따라 가겠는게 있더라. 빠른 시간이나 익스트림한 표현 같은. 그래서 조금 적응의 시간을 가지게 될 것 같다. 하지만 '버닝'이라는 지점을 다녀왔기 때문에 스스로 모욕감 없이 죄의식 없이 연기하는 것으로 애쓰게 됐다. 처음에는 NG도 많이 내고 몸이 뒤틀리고 자괴감에 빠지기도 했는데 그마져도 자연스러운 순간이라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버닝' 이후 작품 선택에 대해 "좋은 시나리오를 받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전에는 힘차게 달렸다면 지금은 조심스럽게 정성스럽게 내딛고 싶다. 제 커리어 관리가 아니라 그게 관객들에 대한 예의인 것 같다"며 "과거에는 캐릭터 에피드백을 스스로 평가하고 그런 판타지를 빨리 깨고 그걸 넘나다는 걸보여드리고 싶고 표현하고싶은 욕심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 영화에서는 관객들이 종수에 대한 잔상을 오래 간직하셨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버닝'은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살아 온 세 젊은이 종수(유아인), 벤(스티븐연), 해미(전종서)의 만남과 이들 사이에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통해 불타버린 청춘의 공허함에 대해 이야기 하는 작품이다.
16일(현지시간) 프랑스 칸 뤼미에르 극장에서 공식 스크리닝을 통해 전 세계 영화인들에게 공개되자마자 유력 영화지에서 최고 평점을 받고 세계 영화인과 언론의 극찬을 이끌며 황금종려상에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smlee0326@sportschosun.com, 사진=ⓒAFPBBNews = New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