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지방 아파트값 70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강남 4구 7주연속 내림세

by

최근 지역 경기 침체와 공급물량 증가, 고강도 부동산 규제책 등으로 인해 지방의 아파트값이 5년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2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지난 21일 조사 기준 전국의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5% 하락했다. 이는 2013년 8월 둘째주 -0.05%를 기록한 이후 약 4년9개월 만에 주간 단위로는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이다. 이 가운데 지방의 아파트값은 0.09% 하락해 2012년 7월 둘째주(-0.0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특히 조선업 경기 불황을 맞은 거제시 등 경남지역의 아파트값은 금주 0.33% 내렸다. 한국감정원이 2012년 주간 아파트 시세를 조사한 이래 주간 단위로는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새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등 공급물량이 늘어난 충남도 역시 지난주 -0.13%에서 금주 -0.14%로 낙폭이 커졌고, 충북도 지난주 -0.04%에서 금주 -0.14%로 하락폭이 늘어났다.

서울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의 아파트값 또한 7주 연속 떨어졌다.

강남 4구 아파트값은 이번주 0.05% 하락해 지난주(-0.04%)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이는 재건축 예상부담금이 늘어난데다 정부의 보유세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매수세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같은 0.02% 하락했고 강남구와 송파구는 각각 0.08% 내리며 지난해 8·2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다만 지난주 보합이던 강동구는 금주 0.01% 올랐다.

반면 서울 도심권은 용산구(0.09%)의 강세로 0.11% 오르며 지난주(0.1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대문(0.17%)·마포(0.13%) 등이 강세를 보인 서북권도 지난주 0.11%에서 금주 0.14%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서울 아파트값 전체 상승률은 0.04%로 지난주(0.03%)보다 소폭 높아졌다.

미분양 물건이 쌓이고 있는 경기도는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확대돼 0.02% 내렸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입주물량 증가로 지난주(-0.10%) 대비 0.11% 하락했다.

서울의 전셋값이 0.08% 하락하며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지방은 -0.12%로 지난주(-0.09%)보다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