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기업 채용시 10명중 3명은 '묻지마 지원'

by

기업 채용시 지원자 10명중 3명은 '묻지마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1016명을 대상으로 대상으로 '묻지마 지원자'를 주제로 조사한 결과, 이처럼 집계됐다.

또한, 기업 2곳 중 1곳은 최근 1년간 전체 지원자 대비 묻지마 지원자의 비율이 '증가했다'(47.8%)고 답했다.

묻지마 지원자를 판별하는 전형으로는 '서류 전형'(76.3%,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실무 면접 전형'(32.5%), '임원 면접 전형'(8.5%), '인적성 전형'(3.5%), '필기 전형'(1.1%) 순이었다.

지원자가 묻지마 지원자임을 판별하는 근거 1위는 '어느 기업에 내도 무방한 자기소개서'(39.7%, 복수응답)가 차지했다. 계속해서 '기업정보를 잘 모름'(37.3%), '지원직무에 대한 이해 부족'(36.5%), '지원 자격기준 미달'(25.5%), '지원분야 잘못 기재'(24.6%), '전형 합격 후 다음 채용단계에 불참'(22.6%), '성의 없는 면접 태도'(17.2%), '기업명 잘못 기재'(15.4%)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아울러 기업 10곳 중 3곳(26.5%)은 묻지마 지원자를 별도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들이 재지원 할 경우 '무조건 탈락'(60.2%)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불이익 없다'는 응답은 10.8%에 불과했다.

한편, 기업 10곳 중 9곳(86.1%)은 묻지마 지원자들로 인한 피해가 있다고 답했다. 이들이 입고 있는 피해로는 '서류검토 업무 증가'(54.3%, 복수응답)를 1순위로 꼽았다. 계속해서 '전형별 불참자 발생'(27.2%), '합격 후 미출근'(24.9%), '다른 인재 채용 기회 박탈'(23.8%), '조기퇴사'(22.7%), '응시생 과다로 채용 비용 낭비'(9.3%), '지원자 수 증가로 채용 일정 차질'(7.5%)이 있었다.

기업은 묻지마 지원자들을 줄이기 위해 '자격조건 세부 공지'(53.6%, 복수응답), '서류전형 필터링 도입'(26.1%), '기존 묻지마 지원 이력 체크 및 반영'(15.1%), '회사, 직무에 특화된 자소서 항목 제시'(13.2%), '지원 시 포트폴리오 등 자료 요청'(7.9%)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