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닷컴 이우주 기자] '골목식당' 백종원이 평택역 떡볶이집·돈가스집에 혹평을 쏟아냈다. 국숫집의 맛엔 만족스러워했지만 위생적인 부분을 지적했다.
20일 방송된 SBS 예능프로그램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는 경기도 평택역 뒷골목의 첫 이야기가 담겼다.
첫 번째 솔루션을 받을 식당은 23년 경력의 떡볶이집. 방송을 앞두고 찾아온 손님들이 있었지만 창에 가려져 입구를 찾지 못했고, 가게 안에는 메뉴판이 없어 손님들은 주문하는 것부터 힘들어했다. 오후 한 시가 돼서야 첫 떡볶이 주문이 들어왔고, 백종원은 맛에 대한 기대를 보였다. 그러나 떡볶이를 먹은 손님들은 하나 둘씩 말을 잃어갔다.
상황실에서 지켜보던 백종원은 떡볶이집으로 향했고, 사장님과 인사를 나눴다. "메뉴판이 왜 없냐"는 질문에 "그냥 안 했다"고 쿨하게 답한 사장님은 "내가 음식을 좀 잘한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떡볶이와 어묵 국물 외에는 모두 기성품이었다. 백종원은 떡볶이와 순대, 튀김을 주문했고 사장님은 여유롭게 메뉴를 준비했다.
상황실로 돌아온 사장님은 여전히 쿨한 모습을 보였다. 떡볶이 가격은 안 정해져 있고, 모든 손님들에게 대중 없이 넉넉한 양을 줬다. 사장님은 "천 원어치 달라하면 그만큼 주고, 3천 원 어치 달라하면 그만큼 준다"고 답했다. 한 판에 몇 인분의 양이 들어가는 지도 몰랐다. 떡볶이를 맛본 백종원은 말 없이 웃었고, "사장님 충격 받지 마셔라. 제가 여태까지 먹었던 떡볶이 중에 제일 맛없는 떡볶이"라고 혹평했다. 백종원은 "어떻게 이런 맛이 날 수가 있냐. 어묵국물은 심각하다"고 혹평을 이어갔다. 기존 육수를 버리지 않고 오래 끓인 것이 문제였다.
이어 백종원은 정인선을 소환했고, 떡볶이를 말 없이 씹기만 하던 정인선은 "먹으면 학교 생각이 날 줄 알았다. 졸업하면 안 올 것 같다. 고추장 향이 센 것도 아니고 케찹 맛이 센 것도 아니"라고 말했다. 사장님은 "지금 맛없을 시간이다. 떡볶이를 바로 한 게 아니다. 오전 11시에 먹어야 맛있다"고 말했고, 이에 백종원이 11시에 방문하는 모습이 예고됐다.
다음으로 공개된 곳은 수제돈가스집. 사장님은 퇴직 후 배운 요리로 생애 첫 요식업에 도전했다. 돈가스집이지만 라볶이, 쫄면 등 메뉴가 많았고, 주방은 이중 구조로 이뤄져 동선이 길었다. 사장님은 치즈돈가스를 주문한 손님에 오래 걸린다고 양해를 구한 뒤 단계별로 조리를 이어갔다.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는 조리법이었다.
손님마다 다른 서비스도 문제였다. 치즈 돈가스가 오래 걸려 피해달라 하다가도 다른 손님에겐 치즈 돈가스 주문을 받았다. 바빠지면 날카로워지기도 했다. 백종원은 가게로 가 치즈돈가스와 김치볶음밥을 주문했고, 사장님은 "(치즈돈가스와) 친해진 지 얼마 안 됐다"며 조리를 시작했다. 사장님은 온도계 없이 감으로 온도를 맞췄고, 이전에는 보지 못한 독특한 방식으로 치즈돈가스를 만들었다. 이어 김치볶음밥도 독특한 방식으로 조리해 백종원을 당황하게 했다. 달궈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물기가 있는 팬에 기름을 넣고 재료를 한 번에 넣어 볶았다.
사장님은 돈가스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창업하려고 한 게 아니라 부동산에 집 문제로 왔다가 부동산 사장님이 추천하셨다"고 밝혔다. 레시피는 스스로 터득한 방식이었다. 치즈돈가스를 맛본 백종원은 또 한번 웃었고, "돈가스 먹는데 왜 양념치킨 먹는 느낌이 나냐"고 말했다. 백종원은 "소스에 이것저것 많이 넣는다고 맛있어지는 게 아니다. 제대로 된 거 몇 가지 넣어서 맛을 잡는 게 중요하다. 나쁜 말로 소스가 다른 곳에 가있다"고 평했다.
김치볶음밥은 맛보기도 전부터 백종원에 실망을 안겼다. 독특한 조리법을 직접 봤기 때문이었다. 김치볶음밥을 먹자마자 우울한 표정을 지은 백종원은 "도시락 반찬 넣고 섞어놓은 것 같다.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장님은 백종원의 레시피를 참고했다며 백종원의 볶음밥 레시피에서 파기름을 내는 과정만 뺐다고 말했다. 이에 백종원은 "제 레시피에 이런 게 어딨냐. 저는 이렇게 안 한다"며 억울해했다.
다음 가게는 할매국숫집. 모녀가 함께 운영하는 저렴한 국수집이었다. 그러나 모녀는 음식을 만들면서 투닥투닥 다투기 시작했고, 손님을 앞에 두고서도 신경전을 이어갔다. 특히 이날은 '골목식당' 촬영 소식에 평소보다 더 많은 손님들이 왔고, 이에 김밥을 쌀 밥이 부족해졌다. 이 과정에서도 모녀는 다퉜고, 어머니는 바쁜 상황에 날카로워졌다. 백종원은 가게로 가 어머니와 먼저 이야기를 나눴다. 백종원은 "손님 많아서 화내시더라"라고 물었고, 사장님은 "화내는 게 아니라 원래 성격이 그렇다. 화 잘 안 낸다"고 답했다.
그 사이 상황실에 간 따님은 한달 순이익이 백 만원 이하라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재료 자체가 좀 그렇다. (어머니가) 국산 재료를 써야 되고 쌀도 고급 쌀을 써야 한다. 잘 안 맞는다"고 답했다. 좋은 재료를 아낌 없이 쓰지만 저렴한 가격 탓에 마진이 안 남는다고. 심지어 어머니를 도와 일을 하는 딸은 인건비도 받지 않고 일하는 상황이었다.
국수와 김밥을 완성한 사장님도 상황실로 갔다. 국수를 맛 본 뒤 고개를 끄덕이던 백종원은 사장님이 직접 담근 김치가 맛있다며 칭찬했다. 이에 따님은 "여름엔 열무김치를 주는데 그것도 맛있다"고 말했고, 백종원은 바로 열무김치를 찾았다. 열무김치에 고기를 싸먹은 백종원은 엄지척을 날릴 정도로 감탄했다. 그러나 김치가 잔치국수용으로는 잘 안 어울린다고 말했다. 국수에 비해 김치 맛이 강렬하기 때문이었다.
국수에 대해서는 "육수가 특이하다. 맛있다는 것도 아니고 맛없다는 것도 아니"라며 육수 원액을 찾았다. 원 육수를 맛본 백종원은 "매운탕 맛이 너무 많이 나서 왜 그런가 했다. 후추를 많이 넣었다"고 말했고, 사장님은 이를 곧바로 인정했다.
백종원은 감으로 조리해 그릇마다 달라지는 사장님의 방식을 바꿀 것을 조심스럽게 제안하며 주방을 둘러봤다. 백종원은 사장님에 플라스틱 용기, 뚜껑 없는 솥 등의 사용을 지양할 것을 요구했다.
wjle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