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물가상승률 둔화세 보였지만…상승 품목 비중은 86%로 증가

by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가격이 오른 품목 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458개 중 전년 동월 대비 가격이 오른 품목 수는 395개로 86.2%를 차지했다. 1년 전 대비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이뤘던 지난해 7월 가격이 오른 품목 수는 383개(83.6%)였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에서 지난달 4.2%로 8개월간 2.1%포인트(p) 하락했으나 가격이 오른 품목 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유가·곡물 등 공급 측면에서 시작된 물가 상방 압력이 품목 전반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채소류·과실을 제외하고 품목별로 살펴보면 작년 7월에는 등유(80.0%), 식용유(55.6%), 경유(47.0%)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같은 기준으로 지난달엔 도시가스(36.2%)와 드레싱(34.5%), 지역난방비(34.0%)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물가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 오름세 역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지수는 한 달 사이 0.2% 상승해 전월비 기준 2020년 11월 0.5% 상승한 이후 29개월 째 오름세를 유지했다.

향후 근원물가 상승세는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더디게 둔화할 것으로 점쳐진다. 최근 석유류 가격 하락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고는 있으나 가격 경직성이 높은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은 쉽게 하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경제전망을 통해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의 상승률이 작년 하반기 4.6%에서 올해 상반기 4.4%, 하반기 3.3%로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작년 하반기 5.6%에서 올 상반기 4.0%, 하반기 3.1%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