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증여와 상속 문제로 인해 남매 간의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온라인 상에서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지난 17일,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에 "30년 모시고 산 딸과 30년 제사 지낸 아들 중 누구에게 더 많은 상속을 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게시물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본인의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라며 부모가 모두 돌아가신 후 상속과 증여 문제로 다툼을 벌이고 있는 한 남매의 이야기를 전했다.
작성자의 말에 따르면, 딸 내외는 홀어머니를 30년 동안 모셨고, 아들 내외는 30년 동안 아버지의 제사를 지냈다. A씨는 시가 제사도 함께 챙겨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B씨가 제사를 맡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딸은 30년간 어머니를 모셨다는 이유로, 아들은 30년간 아버지 제사를 맡았다는 이유로 지분을 더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작성자는 "아무래도 어머니가 딸과 30년 동안 함께 살다 보니 딸과는 싸우는 일이 잦았다. 하지만, 아들과는 경조사가 있을 때만 만나서 그런지 사이가 좋은 편이다."라고 설명하며, "어머니가 딸과 싸운 후에는 아들에게 전화를 해서 딸 흉을 많이 봤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아들 측은 "딸이 어머니를 제대로 모시지 않았고, 불효녀다."라고 주장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딸 측은 "1년에 3번밖에 없는 제사 모시는 것이 무슨 효도냐. 어쩌다 한 번씩 보게 되니 모자간의 사이가 좋을 수 밖에 없지 않냐."라며 제사를 하찮게 몰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작성자는 "그래도 모신 쪽(딸의 입장)이 더 기여도가 큰 것 같다."며 다른 누리꾼들의 의견을 물었다.
해당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모신 분이 더 받아가야 한다. 이것은 소송해도 딸이 이기는 문제다.", "1년에 3번 지내는 제사보다 365일 24시간 어머니를 모시는 게 더 힘들다.", "실질적으로 모신 게 더 크다. 제사는 지내지 않아도 그만인 것이다.", "딸 흉을 보고 불효했다고 느꼈으면 그 때 자기가 모셔갔어야 했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런 문제는 본인이 살아 있을 때 직접 정리를 해 주고 가는 것이 가장 좋다.", "상속을 받을 재산이 있다면 생활비도 내줬을 것이다. 똑같이 나눠 갖는 것이 맞다.", "딸이 어머니를 어떻게 모셨는가가 관건인 것 같다."라는 반응도 있었다.
황수빈 기자 sbviix@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