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결혼 비용을 절반씩 부담하는 이른바 '반반 결혼'에 대한 갑론을박이 온라인 상에서 펼쳐지고 있다.
지난 17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결혼한 분들, 반반 결혼은 대체 어디까지인가요?"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내용은 바로 '반반 결혼'의 범위에 대해 누리꾼들의 의견을 물은 것이었다.
20살의 작성자 A씨는 "반반 결혼이 너무 궁금해서 여러분들에게 물어본다."며 "요즘 반반 결혼이라고 하는데 대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냐. 집과 혼수 각자 절반씩 부담하는 것이냐, 생활비와 경조사, 부모님 부양하는 것까지 반반으로 나누는 것이냐."며 질문했다.
A씨는 "이렇게 딱 맞춰 반반씩 부담을 하는 것이라면 룸메이트랑 다른 게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내가 아직 어려서 그런 것이냐."라면서 본인의 생각을 드러냈다.
또한 A씨는 "아이를 출산하게 된다면, 산후조리에 들어가는 비용도 절반씩 내는 것이냐. 아이를 낳고 곧바로 복직이 안 되는 경우에는 휴직을 하거나, 부득이하게 외벌이를 해야 하는데 그때에는 반씩 어떻게 부담을 하는 것이냐."며 "여자 측에서 생활비를 부담하지 못하면, 대출까지 써야 하냐."며 물었다.
해당 게시물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반반 결혼은 될 수가 없다. 사실 기준이 애매하다.", "애초에 우리나라는 반반 결혼이 불가능한 구조다.", "임신, 출산은 남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반 결혼은 딩크 부부에게만 가능하다."라며 대체적으로 사실상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반반 결혼하지 마라. 그냥 조금 더 여유 있는 사람이 조금 더 부담하면 되는 것이다.", "반반 결혼 타령하는 사람과는 결혼하면 안 된다. 결혼해서 가족이 되는 것인데 각자의 것만 따져가면서 사려면 왜 결혼을 하는 것이냐."라는 반응도 있었다.
한편, 한 누리꾼은 "각자에게서 각출한 생활비는 어디까지 구매 가능한 것이냐. 생리대나 면도기는 구매할 수 있을까? 쌀을 먹는 양도 다를 텐데 비율 상정해서 돈을 낼 것인지, 아이의 성은 누구를 따라야 하는 지 등등 문제가 있다. 결혼은 계산으로만 할 수 있는 것이 절대 아니다."라며 현실적인 조언도 했다.
황수빈 기자 sbviix@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