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사이에서 위스키가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올해 1분기 수입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전체 분기 기준으로도 역대 2위 수준이다. 와인 열풍의 바통을 이어 받는 모습이다.
24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스카치, 버번, 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78.2% 급증한 8443t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 조사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역대 1분기 기준 최고치이며, 전체 분기 기준으로도 지난해 4분기(8625t)에 이어 역대 2위다.
위스키 수입량은 최근 급증세를 보여 왔다. 지난해 1분기 4738t에서 2분기에는 6451t, 3분기 7224t, 4분기 8625t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1분기에도 8000t 선을 웃돌았다.
위스키 시장은 이전에는 '폭탄주' 등 독한 술을 멀리하는 분위기 탓에 위축돼 있었으나 코로나를 계기로 반전을 꾀하며 활기를 띄고 있다. 집에서 먹는 홈술, 혼자서 먹는 혼술 등 문화가 정착되면서 젊은 층 사이에서 위스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 것.
위스키에 탄산수나 토닉워터를 섞은 '하이볼'이 MZ세대에서 인기를 끈 것도 위스키가 특정 계층만을 위한 고가의 술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도움을 줬다.
실제로 최근 수입되는 위스키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올해 1분기 위스키 수입액은 6477만달러로 지난대 동기 대비 24.0% 증가했는데, 78.2%에 달하는 수입량보다는 증가 폭이 작았다. 수입 위스키의 t당 가격은 지난해 1~2분기 1만1000달러 수준이었으나 3분기에는 9600달러, 4분기에는 8500달러로 하락했으며 올 1분기에는 77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고가의 위스키보다 중저가의 위스키가 많이 수입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저용량 위스키 상품들이 늘었는데 하이볼용으로 많이 소비되기 때문인 듯 하다"고 말했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