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한국소비자원 "해외 리콜 제품, 국내 유통 증가"…지난해 473개 제품 차단

by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유럽과 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을 모니터링한 결과 473개 제품이 국내에서 유통된 것을 확인하고 판매를 차단했다고 7일 밝혔다.

품목별로 보면 음식료품이 113개(23.9%)로 가장 많았고 가전·전자·통신기기 106개(22.4%), 아동·유아용품 70개(14.8%) 순이다. 리콜 사유로는 음식료품의 경우 유해물질 및 알러지 유발성분 함유가 79건(69.9%)으로 가장 많았고 이물질 함유 18건(15.9%), 부패·변질이 3건(2.7%)이 뒤를 이었다. 유해물질 및 알러지 유발성분 함유로 인해 리콜된 음식료품 중에서는 해당 성분(대두, 땅콩, 우유, 밀 등)이 라벨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가 24건으로 가장 많았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전기적 요인(절연미흡, 기준 부적합 등)이 40건(37.7%), 제조 불량 등에 따른 고장이 25건(23.6%), 과열·발화·불꽃·발연이 17건(16%)을 차지했다. 아동·유아용품의 경우 소형 부품 삼킴·질식 위험으로 인한 리콜이 가장 많았다.

제조국이 확인된 219개 제품 가운데 중국산이 138개, 63%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고 미국산이 13개(5.9%)로 뒤를 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정식 수입사를 통해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을 차단했음에도 구매대행 등을 통해 재유통된 사례 513건도 지난해 적발해 시정했다. 재유통 적발 사례 중 125건(24.4%)이 가전·전자·통신기기 품목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정부부처 합동 '해외위해제품관리실무협의체'와 온라인플랫폼 '자율 제품안전 협약'을 통해 해외 위해제품의 온라인 유통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