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염증이 강박적 반복 행동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과학 학술지 'Cell Reports'에 게재된 엄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의 연구결과다.
DGIST에 따르면, 연구팀은 만성적인 뇌 염증이 반복 행동장애를 유발하는 원인과 분자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 뇌 속 면역세포의 염증 반응이 특정 수용체의 과활성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나 강박장애(OCD) 환자에게 나타나는 의미 없는 반복 행동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
문이 제대로 잠겼는지 반복해 확인하는 등의 행동은 지금까지 주로 신경회로 이상이나 유전적 요인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됐지만, 뇌 염증이 이런 행동을 유발한다는 직접적 연관성을 밝혀지지 않았다.
엄 교수팀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NLRP3 유전자 돌연변이를 보유한 생쥐를 이용해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 NMDA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이 반복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인 것을 입증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메만틴(memantine)과 인터루킨-1RA(아나킨라·Anakinra)라는 약물을 투여하면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이 억제되고 반복행동도 사라져 NLRP3 유전자 돌연변이 생쥐에서 반복 행동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발견했다.
이들 약물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치료제로, 현재 알츠하이머병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사용 중이다. 따라서 안정성과 효능이 검증된 약물을 자폐증이나 강박장애 치료에 재활용하는 '약물 재창출(drug repurposing)' 전략이 가능해 치료제 상용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엄지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만성 뇌염증이 NMDA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과활성화를 유도하고, 이로 인해 반복행동장애가 유발됨을 입증한 사례"라며, "반복 행동을 동반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나 강박장애 치료에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