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의 우울증 유발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사춘기 이전에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 증상도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 샌프란시스코) 제이슨 나가타 교수팀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2016년 10월~2018년 10월 21개 연구기관이 진행한 청소년 뇌 인지 발달 연구(ABCDS tudy)에 참여한 9~10세 어린이 1만1876명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과 우울 증상 등 관계를 3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기간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은 하루 평균 7분에서 73분으로 증가했으며, 이들의 우울 증상은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과 우울 증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구 1년 차에서 2년 차 기간과 2년 차에서 3년 차 기간에서 모두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이 평균치를 넘어서서 증가할 경우 우울 증상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한 아이들이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가타 교수는 소셜미디어가 왜 우울 증상을 증가시키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이전 연구들은 소셜미디어 사용 중 겪는 사이버 괴롭힘이나 수면 방해 등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같은 참가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 11~12세 아이들이 사이버 괴롭힘을 당한 경우 1년 후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거나 시도할 가능성이 2.62배 높았고, 마리화나나 담배, 술 등을 시도할 가능성도 1.92~4.65배 높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소셜미디어는 어린이들이 친구들과 연결되고 소통하는 주요 수단이기 때문에 소셜미디어가 우울 증상이나 위험한 행동과 연관이 있다는 이 결과는 어린이들이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빠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에서 소셜미디어는 핵심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앞서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은 16~18세의 약 60%가 소셜미디어에 하루 약 2~4시간을 보내고, 이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장애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미국에서도 하루에 3시간 이상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청소년은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포함한 정신 건강 악화를 경험할 위험이 두 배나 높았다는 보고서가 발표되기도 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