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오다리 원인과 치료법은?…힘찬병원 유튜브 수찬's 관절 토크서 공개

by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힘찬병원이 유튜브 <수찬's 관절 토크> 코너를 통해 한국인에게 특히 많이 생기는 오다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23일 공개되는 첫 편은 이수찬 대표원장과 이동녕 원장은 오다리의 의학적 기준, 발생 원인, 치료법 등에 대해 설명한다. 오다리는 의학적으로 아랫다리뼈가 안쪽으로, 허벅지뼈는 바깥쪽으로 기울어 무릎 사이가 벌어진 상태다. 정형외과에서는 무릎의 중심을 지나야 할 다리 정렬축이 안쪽으로 치우쳐 체중이 제대로 분산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오다리는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좌식생활을 많이 하는 동양인들의 생활습관 때문이다. 앉을 때 무릎 안쪽에 하중이 많이 실리면서 안쪽 관절이 손상되고 닳게 되는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오다리로 변형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인의 무릎 형태를 9가지로 분류해 조사한 연구가 있는데, 통증 유무와 관계없이 오다리 형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오다리의 수술 치료, 적절한 수술 연령, 오다리 예방을 위한 방법 등 오다리에 관한 모든 정보가 5편 시리즈로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다리 변형은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오다리가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변형되면 통증이 심해지고 걸음걸이도 불편해질 수 있다.

힘찬병원 정형외과 이동녕 진료원장은 "과거에는 아이를 업어 키우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 유모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오다리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을 보면, 생활 환경뿐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변형된 오다리를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이환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