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드론 자립화·지능화로 생태계 육성…'K-드론 이니셔티브' 출범

by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드론 개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담은 이니셔티브를 출범하고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기획에도 나선다.
우주항공청은 17일 대전 유성구 호텔오노마에서 'K-드론 기체공급망 이니셔티브'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니셔티브는 국내 드론산업이 직면한 ▲ 기체 및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 문제 ▲ 공급망 취약 ▲ 기술주도권 미확보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정부 정책이라고 우주청은 설명했다.
이를 통해 ▲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정책 로드맵 마련 ▲ 기체와 핵심부품의 국내 생산을 통한 산업 생태계 자립화 ▲ 범부처 협업체계 강화 ▲ 인공지능(AI)과 차세대 반도체 기반의 지능형 드론 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등 4가지 핵심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우주청은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존 리 우주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정책 브리핑 세션에서 우주청은 범정부 차원 정책 접근 필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수요 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향 전환과 함께 부처 간 긴밀한 협력 체계, 연구개발(R&D) 시스템 개편 필요성을 제시했다.
항우연은 AI 자율비행 및 고중량 드론 등 미래 전략 수요 대응 과제와 공공임무 드론 기반 기체 계열화 및 활용 모델 정립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부품·인프라·제도 개선 등 종합 전략을 기획하겠다고 밝혔다.
실무토론 세션에서는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기체 개발사업, 부품 개발, 표준규격화, 실증사업 연계 등 실무 추진계획도 제시됐다.
우주청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내 드론산업이 외산 의존에서 벗어나 공급망 체계를 갖추고, 첨단 기술과 융합해 기체 하드웨어 중심에서 벗어난 지능형 드론 기술 생태계를 선도할 기반을 갖출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이니셔티브에 공공 분야 활용 드론 시스템 개발과 적용 확대도 포함해 재난 대응 및 국토 관리 등 공공서비스 전반에서 드론을 쓸 수 있도록 기술개발 및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리 본부장은 "K-드론 이니셔티브는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자립화, 공급망 복원력 강화, 그리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의 출발점"이라며 "정책 방향을 기반으로, 중점과제별 실행전략을 체계화하고, 이를 뒷받침할 예타 기획 등 구체적인 실행 절차를 순차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shj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