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 계기 AI 기업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을 국가전략 기술로 지정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이후 하위법령 개정 과정에서 데이터센터 공제액 확대를 적극 검토한다고 20일 밝혔다.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은 기업이 AI 데이터센터 시설에 투자할 때 투자액의 1%만 세액공제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울산전시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 이어 AI 관련 기업과 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카카오,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삼성SDS, 퓨리오사AI, 루닛 등이 참여했다.
이 간담회는 SK그룹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업체 AWS로부터 40억 달러를 투자 유치해 7조원 규모로 짓는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을 계기로 마련됐다.
울산 데이터센터는 올해 9월 착공해 2027년 11월 41MW(메가와트) 규모로 우선 가동한 뒤 2029년 국내 최대 규모인 103MW로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이후 기가와트급으로 확대,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허브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간담회에서 SK는 AI 산업 성장을 위해 AI 분야 수요 창출과 AI 스타트업 성장 지원,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혁신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I 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 퓨리오사 AI는 국산 AI 반도체 양산과 관련된 투자유치 현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카카오는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일상 속 AI 서비스' 확산 계획을 밝혔고 삼성 SDS는 기업용 AI 플랫폼과 설루션을 통한 글로벌 진출 노력을 소개했다. 의료용 AI 스타트업 루닛은 작년 자사 매출 93%가 해외에서 나왔다며 해외 데이터 확보 등에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cs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