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VR도구 가짜 국산화, 뇌물 준 기업에 과제도…ETRI, 감사 적발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혈세 수백억 원을 투입한 가상현실(VR) 콘텐츠 제작 도구 국산화 사업에서 기존 기업 도구를 새로 개발한 것처럼 속여 성과물로 포장한 것도 모자라 추가로 진행한 VR 도구 활용 사업마저도 외산 VR 도구를 쓴 게 감사 결과 드러났다.
참여 기업이 과제를 늘려달라며 신문지에 돈을 싸 바치는 뇌물 비리가 있었음에도 연구책임자가 이를 신고하지 않고 이 기업이 추가 과제를 수주하게 두는 등 관리 부실도 곳곳에서 드러났다.
24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감사위원회가 공개한 ETRI 종합감사 결과에 따르면 감사위는 2015년부터 8년간 총사업비 357억원이 투입된 국산 VR 엔진 및 저작도구 개발사업에 대해 이런 부당 수행 사실을 확인했다며 관련자를 징계할 것을 ETRI에 통보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 공동연구기관인 한 기업은 자체 개발 VR 엔진을 갖고 있었는데 VR 엔진 개발연구비를 지원받기로 하고 이 엔진 소스코드를 ETRI에 제공했다.
그러자 사업 책임자인 A 책임연구원은 2017년 이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한 '다누리 VR'을 홈페이지에 개발 성과로 공개하고 연구개발 성과로도 제출했다.
홈페이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홍보까지도 진행했지만, 2021년에는 보안 취약점 등을 이유로 사이트를 폐쇄해버리고 공개도 막았다.

이 VR 엔진을 기반으로 만든 콘텐츠라며 ETRI가 제출한 5개 콘텐츠 중에서 3개는 외산 엔진으로 구동되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A 책임연구원은 소속 부서 연구연수생으로 특수관계에 있던 B가 2021년 25세 나이에 창업한 다른 기업의 법인 주소로 자택 주소를 제공하고 과제도 따낼 수 있게 편의를 제공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B가 연구 종사 경험이 2개월에 불과한데도 공동연구기관의 용역발주를 받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VR 사업 관련 3건의 용역을 수주하게 한 것이다.
A 책임연구원은 심지어 공동연구기관인 또 다른 기업 대표가 뇌물을 주려는 시도가 있었음에도 과제에 지속 참여시키기 위해 이를 신고하지 않고 내버려 둬 이 기업이 사업비 11억원을 타가는 것을 막지 않은 것으로도 파악됐다.
A 책임연구원 주장에 따르면 이 기업 대표가 함께 식사한 후 신문지에 싼 현금 1천만원을 차에 놓고 갔는데, 그는 이틀 뒤 계좌를 통해 돌려주기만 했을 뿐 부정행위를 즉시 신고하지 않은 것이다.
이마저도 ETRI가 2023년 감사원에 수감 자료를 제출할 때 A 책임연구원은 현찰 3천000만원을 주며 과제와 연구비 증액을 요구했지만 거절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답하는 등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감사위는 A 책임연구원을 중징계 조치하고 이번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관련 법률 및 규정에 따라 검증 등 조치를 수행하라고 ETRI에 통보했다.

한편 감사위는 ETRI의 테라헤르츠 기반 대인 신발 보안검색 시스템 개발 사업에 대해서도 예산이 부당 집행됐다며 관련자 징계를 통보했다.
이 사업은 당초 212억원을 투입해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신발을 벗지 않고도 원스톱 보안 검색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는 게 목표로 2021년 출범했으나, 2023년 1단계 평가에서 '극히 불량' 평가받아 지원 중단된 후 협약이 해지됐다.
협약해지로 실제 집행된 정부 지원 개발비는 134억8천700만원이었으며 사업 전담 기관은 ETRI에 제재부가금 1억4천590만 원을 처분 통지했다.
shj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