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 수가 증가하면서 연속혈당측정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한 제1형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가 간헐적 스캔형 기기 사용 환자에 비해 더 많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 최근호에 발표된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김지윤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19∼2022년 사이 연속혈당측정기를 한 번 이상 사용한 제1형 당뇨병 환자 7786명을 대상으로, 연속혈당측정기와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 사용 그룹으로 나눈 뒤 당화혈색소 수치 변화를 분석했다.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보여주는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6.5%를 넘으면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연속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손끝 채혈 대신 팔이나 배 등에 패치를 부착한 뒤 스마트폰 등으로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다. 이 중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는 5분마다 자동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해 알려주고,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는 사용자가 직접 센서를 스캔해 혈당 수치를 확인해야 한다.
연구팀 분석 결과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한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는 3개월 만에 8.9%에서 7.1%로 감소했고, 간헐적 스캔형 기기를 사용한 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는 8.6%에서 7.5%로 하락했다.
추적 관찰 종료까지 모든 시점에서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보다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환자들의 당화혈색소 수치가 낮았다.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는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자 3개월 만에 당화혈색소 수치가 10.1%에서 7.2%로 현저하게 떨어졌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연속혈당측정기 사용과 당뇨병 환자 재택의료 시범사업과 같은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미국당뇨병학회 등에서는 인슐린을 사용하는 1형,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데, 특히 혈당 변동폭이 크거나, 저혈당 위험이 높은 경우, 임신성 당뇨, 인슐린 치료법 변경 시 효과가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