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광주지방기상청과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은 지역의 폭염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해 폭염 현황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폭염 취약성 정보 통합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폭염정보 통합서비스는 위성영상과 인공지능(AI)기법을 활용해 지역 내 기온 분포를 30m 격자 단위로 상세화하고 지표 특성을 반영한 상세 열 지도를 제작한다.
도심 내에서도 건물, 도로, 녹지 등 토지피복 유형에 따라 열 분포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열 지도를 활용하면 폭염 집중 구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이 운영하는 AI 기반 폭염예측 시스템과 연계해 7∼8월 이동형 기상관측차량과 열화상드론으로 폭염 집중 구역과 열의 흐름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연구의 정확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함동주 광주지방기상청장은 "21세기 후반 광주의 폭염일수는 현재보다 최소 33일, 최대 97일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폭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i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