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청주 병원서 의료진 7명 SFTS '2차 감염'…집단발생 역학조사 중

by


질병청, 환자 심폐소생 중 혈액·체액 노출된 의료진 감염 확인
"증상은 모두 사라져"…진드기 매개 SFTS, 치명률 18.5% 달해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청주 대형병원에서 진드기 매개 질환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를 돌보던 의료진에게서 '2차 감염'으로 인한 SFTS 집단발생이 확인됐다.
다만 의료진 7명 모두 현재는 증상이 모두 사라진 상태다.
질병관리청은 SFTS 환자를 심폐소생술 하는 과정에서 의료진 7명이 환자의 혈액 및 체액에 노출돼 2차 감염된 것으로 확인하고, 역학조사와 접촉자 관리를 진행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한 60대 SFTS 환자가 지난달 2일부터 발열 등 증상으로 4일 보은 소재 병원에 입원했다가, 5일 청주 소재 종합병원으로 전원됐고, 9일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해 청주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송됐다. 이후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같은 달 11일 중환자실에서 심폐소생술 받던 중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
당시 심폐소생술에 참여한 의료진 중 9명이 지난달 17일부터 20일까지 발열, 두통, 근육통, 설사 등 증상을 보인 데 따라 SFTS 진단검사가 시행됐다. 그 결과 7명이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보건당국은 환자의 기관 내 삽관, 인공호흡기 적용, 심폐소생술 등의 처치 과정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되면서 2차 감염이 벌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질병청은 SFTS 환자의 혈액·체액에 직접 노출된 의료진과 장례지도사, 간접 노출 가능성이 있는 의료진과 가족을 대상으로 SFTS 최대 잠복기 14일의 2배인 28일 동안 증상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하고 있다.
SFTS는 주로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게 물려 감염되지만, 고농도의 SFTS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중증 환자·사망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될 경우 비말을 통해서도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SFTS 사람 간 2차 감염자는 총 35명이며 그중 의료종사자는 34명, 장례지도사는 1명이었다.
2차 감염된 의료종사자의 대부분은 SFTS 환자에 심폐소생술 등을 하는 과정에서 감염되므로, 안면 보호구 등을 착용해 환자가 배출하는 분비물과의 접촉을 막아달라고 질병청은 당부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 사례를 통해 의료기관 내 SFTS의 2차 감염 위험성을 재확인했다"며 "환자 치료 시 개인보호구 착용 등 의료종사자 감염관리를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밝혔다.
SFTS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한다. 물린 후 5∼14일 안에 고열이나 오심, 구토, 설사 등 소화기 관련 증상이 나타난다.
국내에선 2013년 SFTS 첫 환자가 보고된 후 지난해까지 총 2천65명의 환자가 발생해 이 가운데 381명(치명률 18.5%)이 사망했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하는 게 최선이다.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