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르포] 찜통 쪽방·뜨거운 아스팔트…폭염에 위태로운 도시민

by


선풍기 틀어도 식지 않는 열기…생계 때문에 버티는 서민들

(광주=연합뉴스) 김혜인 기자 = "벌써 날씨가 이런데, 8월엔 어떻게 견딜지 모르겠어요."
폭염특보가 엿새째 이어진 2일 오전, 광주 동구 대인동의 한 쪽방촌은 인적이 끊긴 채 고요했다.
이른 무더위로 건물마다 에어컨을 틀면서 뜨거운 열기가 쏟아져 나오지만, 이 쪽방촌은 에어컨 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쪽방촌에서 만난 강성문(76) 씨는 현관문을 활짝 열어둔 채 힘겹게 더위를 피하고 있었다.
해가 중천에 올랐지만, 방 안은 어두컴컴했고, 습하고 무거운 공기가 2평 남짓한 공간을 짓누르고 있었다.
형광등을 끄고 선풍기를 틀어도 방 안 열기가 식기는커녕 시간이 갈수록 더해지자 강 씨의 콧등과 이마엔 땀이 송골송골 맺히기 시작했다.
7년째 쪽방에서 살아온 그는 매년 여름 더위와 싸워왔지만,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에 올여름을 어떻게 버틸지 걱정이 앞섰다.
강씨는 "밤엔 모기 때문에 문을 닫아야 하는데 그때마다 숨이 턱턱 막힌다"며 "에어컨이 있는 방으로 옮기고 싶어도 월세가 5만 원 더 비싸다. 우리 같은 사람들한텐 냉방도 사치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밖에 나가기도 무서울 만큼 푹푹 찌는 날씨가 벌써 시작됐다"며 "앞으로 더 더워질 걸 생각하면 벌써 기운이 빠진다"고 말했다.

도심 한복판 아스팔트 위에서는 배달노동자들도 폭염과 사투를 벌이고 있었다.
점심시간 배달 주문을 기다리던 11년 차 라이더 임철우(34) 씨는 그늘을 찾아 오토바이를 세우고 무거운 헬멧을 벗었다.
출근한 지 1시간도 되지 않았지만, 마스크와 헬멧으로 중무장한 채 다녔던 그의 머리칼은 이미 땀으로 흠뻑 젖어 있었다.
임씨는 "여름엔 아이스 커피나 아이스크림 주문이 몰린다. 늦게 배달하면 녹아서 회수해야 하는 일도 있어 느긋하게 다닐 수가 없다"고 말했다.
또 "아무리 더워도 라이더들은 생계를 위해 오토바이를 손에서 놓을 수가 없다"고 호소했다.
같은 시간 광주 서구 금호동의 한 아파트 공사장 입구에서는 점심시간을 맞아 건설 노동자들이 삼삼오오 식사를 위해 모였다.
안전모를 벗고 얼음물을 벌컥벌컥 들이켜는가 하면, 불에 달군 듯한 얼굴과 팔에 얼음물을 문지르며 열기를 식혔다.

덥지 않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무더위 때문에 지친 동료들이 픽픽 쓰러지는 건 일상이라고 입을 모아 말했다.
건설 노동자 김모(46) 씨는 "휴게실에서 쉬고 있었는데, 옆에서 졸던 동료가 어느 순간 숨을 안 쉬더라"며 "재빨리 안전요원을 불러 조치했는데 자칫 큰일 날 뻔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이 떨어지거나 저혈압으로 쓰러지는 건 흔한 일이고, 반대로 물을 너무 많이 마셔 염분이 부족해 실신하는 경우도 있다"며 "사실상 생계를 위해 목숨 걸고 일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광주·전남 지역에는 지난달 27일부터 엿새째 폭염특보가 발효 중이다.
i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