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기 해체 승인 계기로 국내 시장 확대 계획 밝혀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참여 중인 미국 원전 해체 사업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고 3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현재 미국 원전 해체 분야 전문 기업인 홀텍과 뉴욕주 인디안포인트(IPEC) 1∼3호기 해체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국 현지에 전문 인력을 파견해 원자로 구조물 절단과 오염 장비 해체, 사용 후 핵연료 제거와 저장시설 이송, 건물 해체, 폐기물 관리 등의 핵심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 중이다.
현대건설은 지난 2022년 홀텍과 원전 해체 협약을 맺고 국내 건설사 중 최초로 미국 원전 해체 사업에 진출한 바 있다.
홀텍은 해체 기술뿐 아니라 미국 핵연료와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한 핵연료 건식저장 시스템도 보유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홀텍의 이런 기술을 바탕으로 방사성 폐기물 저장 기술로도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고리 1호기를 비롯한 국내외 원전 해체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은 2050년 50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유망한 시장"이라면서 "미국 원전 해체 경험이 있는 유일한 한국 건설사로서 국내외 원전 해체 분야에서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원전 해체는 원전 영구 정지, 안전 관리, 사용 후 핵연료 반출, 시설 해체, 부지 복원 등의 과정에 최소 10년이 걸리고 작업 특성상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전 세계에서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25기에 그친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1호기의 해체 승인을 결정하며 영구 정지 8년 만에 본격적인 해체 사업을 시작하게 됐다.
현대건설은 1971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한국형 원전 24기를 시공한 경험이 있다.
2023년에는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등 국내 영구 정지 원전의 부지 상태를 확인하고 해체 절차를 수립하기 위한 용역을 수주해 시장 진출의 기반을 닦았다.
ohye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