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울산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SKT "전력·부지 확보 최적지"

by


하민용 AI DC 사업부장 "AIDC는 수도권 아니어도 돼…인접국 AI 수요 흡수"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세계 최대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에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한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산업 환경이 재편되면서 입지 선호도가 변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하민용 SK텔레콤·브로드밴드 AI DC 사업부장(부사장)은 3일 SKT 뉴스룸에 올린 임원 칼럼을 통해 울산 AI 데이터센터(AI DC) 사업 계획을 소개하고 데이터센터 업계의 환경 변화에 관해 설명했다.
하 부사장은 "기존 데이터센터는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를 주로 해야 하므로 수요 기업과 가까운 수도권 입지가 중요했지만, AI 데이터센터는 AI 모델의 학습 및 추론을 주로 하므로 충분한 전력 및 부지 확보, 글로벌 확장성 등이 중요해졌다"고 했다.
그는 울산 미포산업단지에서 2027년 가동을 시작할 SK-AWS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전력 수급과 부지 확보의 용이성, 안정적인 네트워크 측면에서 새로운 데이터센터 역할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이 데이터센터는 300MW(메가와트)급 LNG 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는 인근의 SK멀티유틸리티 발전소에서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한국전력보다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쓸 수 있다고 했다.
데이터센터 내 서버 랙 배치를 매우 촘촘히 설계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고효율 냉각을 공냉식과 수냉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뒷받침한다.
산업단지공단에 있어 소음·전자파 등 데이터센터에 대한 주민 민원에서 자유롭고 울산에 SK그룹의 에너지·화학 계열사 부지가 다수 있어 향후 GW(기가와트)급으로 증설할 때 부지 확보 어려움도 적다는 설명이다.
하 부사장은 국제 해저케이블 육양지인 부산 육양국과 40km 거리에 있고 SK브로드밴드의 부산 해저 케이블을 통해 북미와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초고속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해 국내뿐 아니라 인접 국가 AI 학습 및 추론용 데이터 처리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서울 구로 데이터센터 등을 포함하면 2030년 총 300MW 이상의 용량을 확보, 데이터센터만으로 연간 1조 원 수준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cs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