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김대중 전남교육감 "지역에 맞는 교육제도 개편 새정부에 요청"

by


교원 기초정원제·작은학교 모델 도입 등으로 경쟁력 강화 도모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3일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제도 개편을 새 정부에 적극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날 청사 대회의실에서 '주민직선 4기 전남교육 출범 3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남은 1년 전남교육의 정책 방향과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지난 3년간의 성과를 원동력 삼아 전남교육 모델을 완성하겠다"며 세계시민교육, 생태환경교육,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교육을 핵심 전략으로 내놓았다.
도교육청은 이에 발맞춰 기간제 교사 채용이 어려운 도서지역 학생들을 위한 교원 기초정원제 확대, 지역 맞춤형 교원 양성 등 지역 실정에 맞는 제도 개편을 중앙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지역균형발전과 고등교육 혁신을 위해 지역 거점 국립대학 육성과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에도 목소리를 낼 방침이다.
김 교육감은 "핵심전략이 전남교육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선 지역 특성에 발맞춘 교육 여건과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며 "지역대학의 역할 확대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도교육청은 또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남형 작은학교 모델 도입 등 학교마다 차별화한 교육 경쟁력을 구축한다.
2026년 개교 예정인 전남미래국제고등학교는 지역 산업 인력을 키우고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직업교육특화 모델로 키우고, 기술·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선취업-후학습 체계도 강화한다.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연장선으로 올해 하반기 '2025 전남교육 작은 박람회'도 열어 교육콘퍼런스·2030수업축제·전남교육 성과나눔 등을 선보일 방침이다.
김 교육감은 "교육활동 침해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발생 빈도가 높은 현장을 밀착 지원하겠다"며 학교 현장 지원 강화와 교육활동 보호 체계 정비도 약속했다.
현장체험학습·폐쇄회로(CC)TV 운영 등 학교 부담이 컸던 23건의 행정업무를 각 시군에 설치한 학교종합지원센터에서 전담하도록 하고, 본청 조직을 감축해 재배치된 31명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김 교육감은 "현장 중심 정책으로 주민직선 4기 전남교육의 완성도를 높이겠다"며 "더욱 소통하고 귀를 기울여 신뢰받는 교육행정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연합뉴스>